d라이브러리
"방"(으)로 총 1,785건 검색되었습니다.
- 굶주린 늑대 ‘다자바 머그리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있는데, 누가 어떤 방에 들어갈지 일정한 규칙이 있지. 그렇다면 다음 중 비어 있는 두 방에 들어 갈 양은 누구누구일까?”미션3 세 번째 문제, 뚱뚱이 양 떼 줄 세우기늑대가 또 쉽게 맞히자 공포에 빠진 양들은 땅이 울릴 정도로 몸을 떨기 시작했다.“조…, 좋아. 이제는 어려운 문제를 내겠다. ... ...
- 웰컴 투 얼음왕국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곳에서는 뾰족하게 하늘을 찌르고 있는 마테호른 빙하를 감상할 수 있지. 눈으로 지은 방을 조명으로 밝히고 친구들과 옹기종기 모여 앉아 이야기를 나눠 봐. 아무리 추운 알프스라도 금세 따뜻해질걸!얼음왕국에서 열린 음악 파티이제 마지막으로 친구들과 함께 성대한 파티를 ...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미국 미시간주립대 이비인후과 언 험프리 교수팀이 코피를 멈추게 하는 획기적인 방법을 발견했어. 바로 돼지고기! 실험 결과, 코피가 폭풍처럼 쏟아질 때 소금에 절인 돼지고기 조각으로 코를 막으면 24시간 안에 코피가 멈춘다고 해. 소금에 절인 돼지고기 안에 피를 굳히는 응고 인자가있기 ... ...
- 눈부시게 잠 못 드는 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꺼버리겠다는 얘기죠. 친구들도 빛공해를 줄일 수 있어요. 잠들기 전에 방 안의 조명이나 컴퓨터, TV는 꼭 끄세요. 또 어두운 침대 안에서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일도 줄여보세요. 내일은 오늘보다 훨씬 더 건강하고 활기찬 아침을 맞이할 수 있을 거예요 ... ...
- 뇌과학이 알려 주는 공부비법 5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미국 텍사스대학교의 케이스틀리 교수팀은 초등학교 1학년에서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방과 후 운동량을 조사했어. 그랬더니 매일 40분 동안 운동한 학생들이 매일 20분 동안 운동한 학생들보다 성적이 더 좋았단다.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 의과대학의 캐서린 킹 박사 연구팀은 TV화면으로 ... ...
- 여름휴가 플래너 ‘너모르게 바가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무중력 체험은 단돈 200달러!”미국 우주여행 회사인 ‘버진 갤럭틱’이 지난 달 미국연방항공청으로부터 우주여행 허가를 받았다. 올해 12월에 6명을 태운 우주선을 발사할 예정이다.“지금 시험 운행 중이에요. 한번 타 보실래요?”정말 특별했던 여름휴가~“번지점프 공짜, 개썰매 60달러, ... ...
- [화보] 자연의 경이로운 순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사람의 눈은 가장 완벽한 카메라라지만 눈 뜬 장님처럼 중요한 순간을 못 볼 때도 많다. 이때 도와주는 것이 사진작가다. 자연이 만드는 경이로운 순간은 작가의 손길을 거쳐 더 ... 런던자연사박물관 야생사진전에서 수상한 다른 사진을 보고 싶다면 홈페이지(nhm.ac.uk/wpy)를 방문해 보자 ... ...
-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시달리거나 작은 자극에도 크게 반응하는 것은 조현병의 전조 증상이다. 어릴 때는 표현 방법이 단순하기 때문에, 극심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몸으로 나타내는 편이 많다. 많은 경우 부모는 그런 행동이 마음의 병이라는 걸 모르고 그냥 지나친다. 그동안 병은 아이의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서서히 ... ...
- [체험] 크리스마스 장식볼 만들기 별모양 다면체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선배, 크리스마스가 코앞이에요. 우리 동아리방에도 크리스마스 트리 하나 놓아요.폴 : 역시! 나랑 아밀리는 뭔가 통한다니까. 안 그래도 내가 나무를 구해 왔거든.앤드류 : 그러면 별모양 다면체를 만들어서 장식해 보자. 이참에 ‘별모양화’에 대해서도 알아 보고!반짝이는 별을 닮은 다면체1 ...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될 수 있을 듯하다. 그러나 이것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된 건 아니다. 미래에는 비밀의 방마저 뚫는 기술이 나오지 않을까. 거꾸로 ‘안전해진’ 카카오톡이 범죄에 악용되는 사례가 늘어난다면 이번엔 반대의 목소리가 나오지 않을까. 무엇보다 개인의 권리는 사이버공간에서 얼마나 인정받을 수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