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반
보통
전반
총체
d라이브러리
"
보편
"(으)로 총 84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Ⅰ 2000년대를 내다 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사람이 사람을 낳고 개가 개를 낳는 사실은 너무나 당연하게 여겨진다. 그러나 이
보편
타당한 사실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은 불과 1백여년 전이다. 즉 완두콩의 모양과 색깔이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 현상을 분석한 멘델이 1866년 생물체는 부모의 특징을 다음 자손으로 유전하는 데 ... ...
첨단 가전제품 이용도 높이려면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부분에서 5초 동안 동작하고 다음 프로그램으로 넘어간다. VISS는 아직 일반 사용자에게
보편
화된 기능은 아니다.사용설명서 안보는 문화제품의 특성을 파악하고 기능을 익히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설명서. 이를 보면서 직접 한번만 작동해 보면 손쉽게 기능을 익힐 수 있다. 실제로 ... ...
PARTⅣ 국내외의 엔진산업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판단된다.자동차의 배기가스를 줄일 목적으로 시작된 전자식 연료분사엔진도 이제는
보편
화돼 기존의 기화기엔진을 거의 대체했다. 현재는 배기가스의 발생을 가급적 줄이고 엔진의 작동조건을 조절해 주행성능을 좋게 하고, 연료소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금속재료 ... ...
바퀴식 TGV·신칸센의 신화, 곧 무너진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수준에 있기 때문에 염가의 자기부상력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초전도기술은 곧
보편
화될 전망이다. 따라서 꿈의 기술이라고 불리는 이 초전도 기술과 결부되는 고속열차라야 21세기가 돼도 뒤떨어진 기술이라는 평가를 면할 수 있다. 기술적 변혁이 눈 앞에 보이고 있는 이때 천문학적인 돈으로 ... ...
너무 먹어도 탈, 너무 안먹어도 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않은 병명으로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점차 서양화되는 식생활 패턴과 식이요법의
보편
화가 이 병의 국내 진출을 재촉하고 있기 때문이다.앉은 자리에서 햄버거 세개와 애플파이 두개를 먹어 치운다면 그 사람은 어쩌면 걸식증의 초기단계에 놓여 있는지도 모른다. 이 걸식증은 서구에서도 비교적 ... ...
IC 카드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있다. 게다가 제조공정이 간단한 만큼 안에 담긴 정보가 읽히기도 쉬워 카드사용이
보편
화된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카드도용 등의 안전성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실정이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것이 바로 IC(Integrated Circuit, 집적회로) 카드. 최근 국내에서도 생산되기 시작한 이 ... ...
첨단 기술과 예술의 접목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영사예술의 분야에 충격을 주기 시작했다. 오늘날에는 어느 정도 컴퓨터 그래픽이
보편
화되었다. 또한 컴퓨터가 창출한 시뮬레이션 영상은 우주산업에 활용되는 것 이외에도 생체실험용 애니메이션과 유전공학 분야에도 기여하게 되었으며, 공업 및 산업디자인 영화예술 분야 방송기술분야와 ... ...
미로의 운전자에 나침반 제공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얽히는 실제 교차로에서 주기조절의 효과를 보기는 쉽지않다. 게다가 일방통행로가
보편
화된 외국과는 달리 좌회전 허용등의 제도가 복병으로 도사리고 있고 '차만 가지면 어떤 골목이든 갈 수 있다'는 운전자의 그릇된 의식때문에 곳곳에서 연동의 흐름이 끊기기 마련이다."4~5년전의 교통량 정도로 ... ...
PART2 실리콘 밸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비정한 논리속에서 사람마다의 값이 매겨진다. 인간미 없는 일이지만 이곳에서는
보편
화되어 있다. 참신한 아이디어의 소유자가 하루 아침에 백만장자가 되는 이곳의 생리때문에 우수한 머리만을 갖고 일확천금을 꿈꾸는 사람들이 실리콘밸리로 수없이 몰려 든다.그 결과 박사학위 소유자가 1만명 ... ...
난방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에너지소비량이 87년 34.2%, 88년 32.2%, 89년 29.41%로 해마다 줄고 있는 것은 단열재 사용이
보편
화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일반적으로 단열재를 외벽 기준으로 50cm 두께로 사용했을 경우 열손실률(K값, kcal/㎡·h·℃)이 최적치에 이른다.우리나라는 87년 7월 건축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단열재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