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리지날
원시
최초
고유
자체
정통
원조
d라이브러리
"
본래
"(으)로 총 798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처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유성에는 지구표면보다 이리듐이 더 풍부하여 그 이리듐은
본래
유성에 있었던 것일지 모른다. 그러나 이리듐의 또 다른 그럴듯한 출처가 있다. 거대한 화산이 활발히 활동하던 시기에 지구표면보다 이리듐이 더 풍부하다고 알려진 지구내부로부터 이 암석을 끌어냈으리라는 ... ...
담수어표본 50만점 기증한 생물학의 큰 스승 최기철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 ●- 민물고기의 미세구조를 밝히고그 길로 그는 설악산으로 향했다. 강릉에 간
본래
목적은 아예 취소한 채로. 그런데 고향인 대전에서 흔히 보았던 피라미 모래무지 등이 이곳에는 없는게 아닌가. 여기서 최박사는 생물학상의 '신천지'를 본 것이다."일을 하다 보니 어떤 물고기가 어디에 얼마나 ... ...
제6의 영양소 섬유질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약국에서도 판매되는 점 등은 소비자가 섬유질음료를 약품처럼 오인할 소지가 된다.
본래
식이성 섬유질은 영양분의 소화흡수를 방해하는 작용을 한다. 특히 섬유질의 흡착성은 인체내에서 무기질과 비타민을 흡수해 배설시킨다. 그러므로 소화기능이 약한 노약자나 임산부의 경우 체내대사의 ... ...
세계 최대의 지상 우주공원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미우주캠프협회(USSCF)가 인가한 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이 프로그램은
본래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사용하던 것을 개조한 것이다.6개의 전시관중 스페이스 돔은 세계에서 가장 큰 전시관으로 대충구경하는데만 90분이상이 걸린다고 한다. 여기에는 궤도셔틀, 지하도시를 여행하는 달 급행열차 ... ...
애매함을 수용하는 교육환경이 필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라인(line)의 성격을 갖는 부(部)로 격상되어야 할 것이다.■전문자문위원회 설치교육은
본래
문교부의 소관이나 현재 과학영재교육은 상당 부분이 과기처 지원과 관할하에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과학영재교육을 정상화시키고, 이들의 창의성을 극대화해 국가 과학기술의 향도적 역할을 ... ...
긴장과 불안 어디에서 오나?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예로 들어보자. 고무공은 손가락으로 누르면 움푹 들어간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본래
의 상태로 되돌아 가기 위해 손가락을 밀어내는 힘이 작용한다.스트레스란 이와같이 특정 스트레스원에 의해 어떤 문제가 발생하면 그와 동시에 복원력이 작용하는 일련의 과정이다.우리가 자극을 받았을 때 ... ...
새로운 교통체계 오반 시스템 실용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하게 하는 것. 이 경우 버스의 방향전환은 거의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기법은
본래
독일에서 디자인된 것이나 오스트레일리아 기술자들이 아델라이데 지방의 상황에 맞도록 개조했다.작년 크리스마스에 버스 충돌로 수십명이 사망하는 참사를 겪은 오스트레일리아인들인 만큼 관심의 ... ...
「특허의 상품화」 장애물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있지만, 실제로 이들 자금을 빌려쓰는 발명가는 매우 드물다.박인호씨는 "모험자본의
본래
성격은 100% 확실치 않아도 가능성만 있다면 투자를 해야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안전한 것만 선택하려 한다"고 지적하면서 "우리나라에서 진정한 모험자본은 눈을 씻고 찾아봐도 하나도 없다"고 덧붙였다 ... ...
PARTⅠ 과학과 예술의 멋진 랑데부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눈으로는 쉽게 식별할 수 없는 부분을 고도로 발달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래
의 형사을 찾아내는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 역할이며, 나머지 하나는 그래픽 역할의 반대 개념으로서 영상을 자료로 만들어 산업에 이용하는 '패턴 인식'(Pattern Recognition)이다.이같은 연구에 의해 ... ...
PART 1 로보틱스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모아 영화화되기도 했다. 영속의 프랑켄슈타인이라는 괴물은 선의의 창조물이라는
본래
의 의도와는 거리가 멀었다. 그 흉측한 인상은 수백만 사람들의 기억속에 자리잡아 로봇에게까지 이어졌다. 로봇 역시 미쳐 날뛸 수도 있다는 우려가 사람들의 마음에 심어진 것이다.1910년 체코슬로바키아의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