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배
선진자
선진사회
사회
d라이브러리
"
선진
"(으)로 총 1,574건 검색되었습니다.
근육 움직임 모사해 나노구동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선정돼‘디지털 나노구동 연구단’을 설립했다.인공위성 10㎝ 정도로 제어 가능최근
선진
국에서는 제품을 매우 가볍고 얇으며 작게 만들면서 부가가치를 높이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제품의 크기를 아주 작게 하면서 성능을 뛰어나게 한다면,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 ...
① 인간유전체기능 연구사업단장 유향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이해하고 생노병사의 원인을 밝히며 질병문제해결, 수명연장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선진
국의 인간게놈프로젝트 중간결과가 주목받고 있는 이때 이 사업단은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수행할 것이다.구체적으로는 위암·간암 관련 유전자와 단백질을 초고속으로 발굴하고, 한국인 특이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확보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결국 물적·인적 자원 모두가 부족한 우리나라가
선진
국과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게놈 관련 연구를 하는 대학·연구소·기업 등이 정보와 인력의 교류를 통해 중복 연구를 피하고 연구 효율을 높이는 일이 매우 시급하다. 이에 따라 최근 정부에서는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4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팽팽한 '신경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무상의 형태든 인간게놈의 99% 정보가 이제 공식적으로 세상에 공개됐기 때문이다.
선진
국의 첨단 생명공학회사들이 서둘러 인간의 유전자에 특허권을 얻을 때를 대비해 어떤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지가 세계적으로 고민해야 할 과제로 남는다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3 현장취재 영국 런던 다국적팀 기자회견장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점에서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현재 개발도상국의 과학자들은 설사병, 결핵과 같이
선진
국에서는 거의 사라진 질병과 싸우고 있다. 게놈 정보는 이러한 연구에 결정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과학자들은 기대하고 있다.반면 다국적팀의 주장에 따르면 최근 셀레라의 유료 정보에 등록한 기관은 채 5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순수한 정밀화학물질을 얻을 수 있는 기술과 관련한 모든 전세계의 특허를 쥐고
선진
국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까지 조용히 지내려고 한다. 현재 실험실에서는 이 기술을 이용해 광학적으로 순수한 정밀화학물질이 이미 만들어진 상태다. 조만간 그의 연구실이 다시 한번 전세계의 ... ...
3. 국내 감성공학 연구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등 다양한 제품과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감성공학 연구는 일본에서 시작
선진
국에서도 제품과 환경설계에 인간의 감성을 고려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감성공학 연구를 제일 먼저 시작한 일본은 통산성 주도로 1990년부터 1998년까지 총 예산 2백억엔(약 2천2백억원)이 소요된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돌아다녔습니다. 세계에 자랑할만한 변변한 산업 시설 하나 없는 덴마크가 농업의
선진
화로 부를 창출하지 않았습니까. 그 때 발효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확신을 얻었습니다.”김치공장 설립 권유 받기도그러나 자신이 보지도 못할 후손을 위해 수십년 간 산기슭의 밭에 관개시설을 ... ...
3. 태양계에서 노다지 캐는 미래 우주벤처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가져올 계획소행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수집과 자원활용가능성 등을 조사하기 위해
선진
국들은 소행성 탐사선을 이미 보냈거나 앞으로 발사할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미국 NASA가 1998년 10월 발사한 탐사선 ‘딥 스페이스 1’은 1999년 7월 29일 지구접근소행성 ‘브레일레’에 26km까지 접근했다. 1996년 ... ...
초고속망 시대에 걸맞는 컴퓨터 보안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해킹이란 단어를 이런 의미로 쓰는 나라는 우리나라뿐이고, 미국, 유럽 등을 비롯한
선진
국에서 시스템 불법침입자는 칩입자(intruder), 공격자(attacker), 파괴자(cracker)로 부르며 해커와는 구분해 사용한다. 우리나라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해커는 정보통신망의 취약점을 연구·분석해 대응체계를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