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시아"(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2 빛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뿐 아니라 유용한 정보를 알려 줄 수도 있지요. 서울역 앞에 있는 서울스퀘어빌딩에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미디어 파사드가 있어요. 지상 4층부터 23층의 건물 정면에 LED조명을 설치했지요. 폭 99m, 높이 78m의 미디어 파사드에는 LED 약 4만 개가 붙어있답니다. 천만 개가 넘는 색을 표현하는 LED미디어 ...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1억 9950만 명으로 전체 거주 인구의 62%가 슬럼에 산다. 남아시아는 1억 9070만 명으로 35%, 동아시아 1억 8960만 명으로 28.2%가 슬럼 거주민이다. 가축의 밀집 사육 현황 역시 별반 나아지지 않았다. 언제 치명적인 전염병이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로서는 인구 감소 확률이 가장 높다 ...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기초과학 분야 연구중심대학의 ‘클래스’를 보여주는 것이 목표다. 특히 아프리카, 아시아 등 나라의 경제를 발전시키는 모델을 과학기술에서 찾고 성공 사례를 확산시켜 나가는 것이다.포스텍의 이러한 지향점은 ‘기초과학은 국경이 없다’는 철학에서 비롯됐다. 지금까지 갖춰온 ‘수월성’ ...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이 인류가 나중에 알래스카를 통해 북아메리카로 건너가 아메리카 원주민이 됐다. 동남아시아에서 남쪽으로 향한 인류는 호주로 건너갔다. 일부 인류는 북쪽 내륙을 거쳐서 동쪽으로 갔다.인류 탄생 직후 ~ 현재5 전쟁제1차 세계대전(1914~1918년) 때는 군인과 민간인 1654만 명이 전쟁과 그로 인한 범죄, ... ...
- 겨울 간식 삼총사 찐빵, 호떡, 붕어빵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4호
- 만드는 마법!하하~! 역시 틀릴 줄 알았지. 맛있는 겨울 간식들이 중국과 일본, 중앙아시아에서 왔다니 정말 놀랍지? 하지만 아직 실망하긴 일러. 다음 O, X 문제에 도전해 보라구! 찐빵, 호떡과 붕어빵이 부푸는 이유는 밀가루와 미생물 때문이다. 맞으면 O! 틀리면 X!밀가루가 없으면 빵도 부풀지 않는다 ... ...
- 열대 과일이 주렁주렁~! 온난화 대비 농업 현장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3호
- 만져 보니 촉감도 독특했어. 아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게욱’이라는 열매인데, 동남아시아에서 많이 재배한다고 해. 베트남에서는 기쁨과 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해서, 결혼식이나 새해 축제 때 먹는 귀한 과일이래. 우리 나라에서도 키울 수 있을지 시험 삼아 재배하는 거라고 해.제주도는 온난화 ... ...
- 천 년의 기술, 인쇄로 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1호
- 시작했는지에 대한 기록은 확실하지 않다. 단지 당나라에서 목판 인쇄를 시작해 중앙 아시아를 거쳐 유럽으로 전했다고 알려진다. 동양에서 인쇄가 시작된 이유는 글씨를 쓸 수 있는 종이와 종이에 잘 맞는 먹을 일상적으로 사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비석이나 금동판에 글자나 무늬를 ... ...
- 1박 2일 백령도의 보물을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0호
- 보물?지각변동의 흔적, 습곡구조이런 습곡구조는 고생대 말기에서 중생대 초기까지 동아시아 지역에서 일어난 지각변동으로 생겼다고 해. 땅 속 깊숙한 곳에 있던 지층이 양쪽에서 누르는 힘과 변성작용에 의해 물결 모양의 습곡이 생긴 거지. 그 뒤 비바람에 의해 지각이 깎이면서 땅 속에 있던 ... ...
- The Secret of Winning Nobel Prize is ‘Curiosity!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9호
- 수상자들이 지난 8월 8일부터 13일까지 열린 제5회 아시안 사이언스 캠프에서 아시아 학생들의 멘토가 되었어요! 아론 치에하노베르 박사는 단백질 분해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난치병 치료에 대한 공로로 2004년에 노벨 화학상을 받은 분이에요. 아론 치에하노베르 박사님께서 청심국제중고등학교 ... ...
- 눈은 번쩍! 얼굴은 반짝! 과학으로 쓰는 안경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8호
- 등껍질로 만든 볼록 렌즈를 끼고 있었다’고 기록. *마르코 폴로 : 육로를 통해 유럽과 아시아, 그리고 중국까지 여행했던 베네치아의 상인.1352년 이탈리아 화가 토모소 다 모레나가 그린 ‘위고 대주교의 초상화’에 ‘대못 안경’ 등장. *대못 안경 : 나무나 동물의 뼈 등으로 만든 안경테에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