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의학"(으)로 총 2,9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고통을 모르는 벌거숭이 두더지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32년으로 길고, 심지어 뜨거움 같은 통증도 잘 느끼지 못한다. 독일 막스 델브뤼크 분자의학센터 연구팀이 최근 그 이유를 밝혀냈다.연구팀은 벌거숭이 두더지쥐의 TrkA 수용체에 주목했다. TrkA 수용체는 신경세포를 활성화시켜 뇌에 통증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벌거숭이 두더지쥐의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름을 붙였다. 너무나 획기적인 연구 성과였기에, 발표한 지 8년만인 200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차차 연구가 진행되면서, 이 두 사례는 작은 RNA가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두 가지 방식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전자가 miRNA에 의한 RNA 간섭이라면, 후자는 ‘작은간섭RNA(siRNA)’가 일으키는 RNA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피부 바깥에서 측정할 수 있다. 이 신호를 근전도(EMG)라고 한다. 이 신호는 현대 의학에서 근육과 관련한 질환을 진단하거나 근육의 피로도를 측정하기 위해 쓰인다. 원리는 아주 간단하다. 팔의 남아 있는 부위와 의수가 닿는 부분(소켓 내부)에 전극이라고 불리는 작은 금속 조각을 여러 개 붙인다. ... ...
- Part 3. 발암물질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간접흡연의 지표, NNAL이번 프로젝트에서 가장 주목한 유해 물질은 소변에 들어 있는 ‘NNAL’이에요. NNAL은 담배 속 발암물질인 NNK가 우리 몸에 들어간 뒤, 간에서 해독 작용을 거치면서 변한 물질이지요. 간은 우리 몸에 들어온 나쁜 물질의 독성을 줄이고, 이 물질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해요. ... ...
- [수학뉴스] 성적 올리려면 연필 말고 게임기를 들자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게임을 좋아하는 학생들에게는 희소식이겠네요.블루스 웩슬리 미국 예일대 정신의학과 교수는 자신의 개발팀이 만든 ‘액티베이트’가 학교 시험 성적에 좋은 영향을 줬다고 밝혔습니다. 액티베이트는 뇌를 훈련시키는 비디오 게임으로, 운동과 소셜 게임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게 특징입니다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팀이 거의 완벽하게 밝힌 ‘한국인 표준 유전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서정선 교수와 국내 생명공학 벤처기업 마크로젠 공동연구팀은 독자적인 기술을 이용해 한국인의 유전체를 거의 완벽하게 해독해 냈다.유전체란 세포에 들어 있는 모든 유전 정보다. 생김새와 체질, 재능,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 등 생존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모든 ... ...
- INTRO. 2016 노벨과학상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머리카락 굵기보다도 훨씬 작은 분자기계를 설계하고 합성한 세 과학자가 받았다. 생리의학상은 세포 속에서 필요 없는 물질을 분해하고 다시 재활용하는 오토파지 과정을 밝힌 과학자가 차지했다. 노벨이 그려진 금빛 메달로 인정받은 올해 수상자들의 업적을 자세히 알아봤다.▼관련기사를 계속 ... ...
- Intro. 발암물질로부터 가족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아빠 왔다~!”퇴근하신 아빠를 보자 반가운 마음에 현관으로 뛰어나가 볼에 뽀뽀를 해 드렸어. 그런데 이게 무슨 냄새지? 설마 담배 냄새? 나도 모르게 인상을 찡그렸어. 아빠는 집에 오기 전에 손도 닦고 양치도 했는데 어떻게 알았냐며 당황하시네.“아빠! 담배는 피우는 사람은 물론 주변 사람 ... ...
- Part 2. 간접흡연도 흡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다른 가족들이 간접흡연을 하게 된다는 연구결과가 있어요.국립암센터 진단검사의학과 이도훈 박사팀은 지난 20여 년 동안 발표된 60여 개의 연구들을 분석해 봤어요. 그리고 부모가 담배를 집 밖에서 피우는 가족의 니코틴 농도를 확인했지요. 그 결과 비흡연자인 배우자와 자녀의 몸에서 니코틴이 ...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오스미 요시노리 명예교수에게 돌아갔다. 2010년 체외수정 기술 개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로버트 에드워즈 교수 이후 오랜만의 단독 수상이다.오스미 교수는 오토파지 분야의 개척자인 것은 물론, 많은 후학들을 배출해 오토파지 연구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의 제자들은 오토파지 연구를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