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자연상수(e)를 사용한 함수로 그래프가 S자형 곡선입니다. y의 값이 0부터 1 사이에 존재한다는 특징을 갖죠. 이 함수에 앞서 구한 가중치 함수 H(x)=wx+b를 합성하면 함숫값 y의 분포가 0부터 1 사이의 연속한 S자형 곡선 모양의 그래프가 나옵니다. AI는 합성함수의 계산 결과를 토대로 y의 값이 클수록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미술의 기반이 됐다. 빅데이터, 미술 사조에 근거를 부여미술 사조라는 흐름은 분명히 존재했다. 하지만 이를 명확하게 밝힐 방법은 없었다. 그런데 2010년대에 각국에서 연구를 위해 다량의 데이터를 공유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공개된 각종 분야의 데이터 가운데에는 미술 작품도 포함돼 ... ...
- [이달의 책] 2년 만에 듄이 돌아왔다 외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이상 제우스를 신으로 모시지 않는지 궁금했다.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면 과연 절대적인 존재라고 말할 수 있는지, 믿음은 신성한 것이라는 말로 넘기기에는 왠지 석연치 않은 구석이 많았다.‘우리는 신을 믿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리처드 도킨스는 이 책으로 답한다. 그는 무조건 믿기보다는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집 구조를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수 있는 ‘가상화 음향 메타물질’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메타물질은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특이한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도록 만들어진 물질이에요. 연구팀은 분극현상에 주목했어요. 분극현상은 어떤 분자가 전자기장의 영향을 받으면, 분자 안의 (+)전하는 (+)전하끼리, (-)전하는 (- ... ...
- [기획] 램지 수가 뭐길래 수학 난제로 불리지?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수학자들은 구체적인 램지 수를 구하는 대신에 램지 수가 존재하는 범위를 좁히는 방식으로 접근했습니다. 구하려는 램지 수의 범위에서 작은 쪽 경곗값인 ‘하한’을 높이고, 높은 쪽 경곗값인 ‘상한’을 낮추면 정확한 램지 수에 좀 더 가까워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 ...
- [기획] 다양한 색으로 칠해 보자, 다색 램지 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램지 수가 변을 두 가지 색으로 칠하는 그래프 문제라면, 세 가지 이상의 색으로 칠하는 문제도 있습니다. 이를 ‘다색 램지 수’라고 부릅니다. 두 ... 경우의 수를 따져 구하는 방식에 비해 훨씬 효과적입니다. 이 방법으로 에르되시는 램지 수가 존재할 범위의 최솟값인 하한을 구했습니다 ... ...
- ‘집콕’으로 다시 주목받는 '시민과학 프로젝트'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찾는 것이다. 갈색왜성은 행성보다는 크고 별보다는 작은 천체다. 태양계에 9번째 행성이 존재한다면 갈색왜성이 그 주인공일 가능성이 있어 천문학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광역 적외선 탐사 우주망원경 ‘와이즈(WISE)’에서 촬영한 적외선 이미지를 분석해 95개의 새로운 ...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합성했다. 합성된 분자에는 각각 비트 순서를 부여하고 해당 분자가 존재하는 경우 1을, 존재하지 않는 경우 0의 신호로 해석했다. 1500개 분자를 사용하면 1500비트의 데이터를, 3000개의 분자를 사용하면 3000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셈이다. 연구팀은 피카소의 그림 작품을 해당 방식으로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억제성 시냅스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IQSEC3 유전자의 존재는 2004년 처음 밝혀졌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뇌 시냅스 어디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제대로 연구된 적이 없었다. doi: 10.1074/jbc.M115.712893 뇌질환 연구의 어려움, 공동연구로 극복엄 교수와 고 교수팀은 그 동안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4화. 2월에 태어난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만족하는 소수 등차수열이 존재한다는 말은, 1백만 개의 소수로만 이뤄진 등차수열 역시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아주 흥미롭지 않나요? 그린은 현재 아쉽게도 필즈상을 받을 수 있는 나이가 지났지만 항상 필즈상 후보로 거론됐을 만큼 뛰어난 수학자이며, 조합론과 정수론의 대가로서 왕성하게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