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위"(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으로 보는 공기의 힘! 진공 펌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커지거든. 압력이 반으로 낮아지면 부피는 두 배로 커져. 풍선이 하늘 높이 올라갈수록 주위 압력이 낮아져서 부피가 점점 커지는 것도 같은 원리야. 고무가 늘어날 수 있는 정도보다 공기 부피가 커지면 어느 순간 풍선이 ‘뻥!’하고 터져버리지. 뻥튀기처럼 말이야! 으하하하!공기에 탄력이 ... ...
- ‘태양’ 앞을 지나가는 ‘별’을 잡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곳에 있는 항성 HD189733이에요. 이 항성에 딸린 행성 HD189733b는 2.2일에 한 번씩 HD189733 주위를 돌고 있지요. NASA는 찬드라 위성과 XMN 뉴턴 위성이 찍은 두 별의 엑스레이데이터를 분석해 HD189733b가 HD189733 앞을 지나는 일식 순간을 찾아냈어요. 행성이 일식을 일으키면 항성의 빛이 흐려지는데, 엑스 ...
- 우사인 볼트도 깜짝 놀란 번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비를 맞더라도 우산을 접고 걸어가는 게 안전하다.바닥으로 웅크리자!들판처럼 주위에 높은 것이 없는 장소에 있다면 손으로 귀를 덮고 머리는 가능한 땅에 가깝게 웅크린 자세가 가장 안전하다. 만약 여러 사람이 함께 있다면 모여 있지 말고 최소 1m 이상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가로등을 ... ...
- 물놀이 안전, 명예기자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❾ 구조 경험 없는 사람이 구조를 위해 함부로 물에 뛰어 들지 않는다.❿ 튜브, 장대 등 주위에 있는 물건을 이용해 안전하게 구조한다. 하나 둘~ 하나 둘~, 준비운동방학 때 계곡에 가기로 했는데 물놀이 안전수칙을 기억하면 더 재미있고 안전하게 놀다 올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럼 이제 수영장에 ... ...
- 꼭꼭 숨어라! 편광 조절 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앞에서는 각도까지 정확히 맞춰서 다리를 뻗는답니다!다른 물고기 친구들은 보통 눈 주위에 눈에 띄는 줄무늬가 있지요. 눈은 동물의 몸 가운데에서도 가장 알기 쉬운 부분이거든요. 그러니 눈을 감춰 버리면 굉장히 유리하지 않겠어요? 눈을 감아 버리면 적의 움직임을 알 수 없지만, 눈을 뜨고서도 ... ...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팽창’을 일으키는 중력이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큰 물체는 주위 시공간을 뒤틀고 휘어지게 해서 시간을 느리게 가게 한다. 실제로 지구의 중력도 시공간에 약간이나마 영향을 미친다. 인공위성을 이용한 GPS 시스템은 지구 중력이 만드는 시공간 왜곡 때문에 매일 시간이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수 있었다.이후 가우스는 천체의 연구에 열중해 1809년 이란 책을 세상에 내놓는다. 원뿔곡선이란, 오른쪽 그림처럼 원뿔을 자른 여러 단면의 모양을 말한다. 이때 원뿔을 자른 단면의 기울기가 원래 원뿔의 기울기에 비해 크면 쌍곡선, ... ...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지역은 야생 돌고래들이 자주 찾아오는 곳이에요. 돌고래들은 동료가 그물에 걸리면 주위를 맴돌면서 구해내려고 하는 습성이 있어요. 제돌이와 춘삼이, 삼팔이가 가두리 그물에 갇혀 있는 것을 보고 야생 돌고래 무리가 다가오면 그 때 가두리 문을 열고 방류할 계획이에요.하지만 걱정되는 점도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사실상 없다. 시간이 충분하다면 이런 일은 우주 전체에서 일어난다. 연료를 다 쓴 별은 주위에 열을 전달하지 못하고 똑같은 온도로 식어간다. 그러다 결국 우주의 모든 물질이 똑같은 온도로 평형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에너지 전달이 전혀 이뤄지지 않으므로 생명 유지는 물론 어떤 활동도 할 수 ... ...
- 제2기 독자기자단, 카이스트로 수학여행을 떠나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수정할 때도 수학이 활용된다. 사진에 찍힌 얼굴에 난 잡티를 제거할 때, 잡티 주위 피부색의 평균을 계산해서 그에 맞게 잡티색을 수정해 주는 것이다. 또, 자르기 기능을 사용할 때는 그래프 이론이라는 수학이 쓰인다. 그밖에도 의료영상등에 수학이 활용된다는 것을 듣고, 생각보다 많은 곳에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