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부
배우자
배필
파트너
동료
상대방
반려자
d라이브러리
"
짝
"(으)로 총 7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사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신경을 써야 할 게 있다. 그 사람의 불안감이다. 이런 사람이 호소하는 증상은 복잡하기
짝
이 없다. 실제로 갖고있는 증상에 불안감 자체가 만든 증상들이 섞여있어 증상이 실체인지 그림자인지 분간하기가 어렵다.대부분의 병은 의료의 도움을 받으면 쉽게 이겨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 ...
식물들의 겨울지내기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많아서 모진 추위에 얼기 쉽다. 사실 나무의 줄기나 가지는 겨울에 꽁꽁 얼어서 단단하기
짝
이 없다. 나무통을 도끼로 쳐도 도끼가 탕탕 튈 정도이다.그러나 그러한 줄기나 가지는 겨울이 깊어감에 따라 점점 수분이 줄어들면서 사정이 달라진다. 수액의 농도가 커지기 때문에 어는점이 내려가서 ... ...
세계 최초의 DNA 합성기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세계 최초의 이 DNA 합성기는 컬러그래픽과 모니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DNA 가닥이 정확히
짝
지어지지 않으면 자동으로 꺼져 시약(試藥)을 절약하게 한다.기억용량은 9백여종의 각기 다른 DNA가닥정보를 보관할수 있으며 언제라도 컴퓨터시스팀으로 불러내 재사용 또는 변형도 할수 있다. 연락처 영국 ... ...
일부러 선택한 '고생문'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뿐이다. 반드시 맞을 수는 없다는 말과 같다. 따라서 과학에의 '맹목적 추종'은 위험하기
짝
이 없는 일이다.이를 막기 위해 우선 과학과 종교가 만나야 한다. 예전에 복권추첨에 당선된 사람이 1백만 분의 1이라는 당첨확률을 계산하기 앞서 먼저 감사기도를 드리는 광경을 본 적이 있다. 그는 '왜 ... ...
인간과 동물의 기록비교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느린 편이다. 둔중해 보이는 코뿔소(rhinoceros)도 일단 달리기 시작하면 민첩하기
짝
이 없다. 보통 개들 보다는 빠른 시속 56㎞로 내달리는 것이다.기린(giraffe)도 도망칠 때의 시속은 51.2㎞나 된다. 또 타조와 비슷한 생김새를 가진 오스트리아산 날지 못하는 새, 에뮤(emu)는 시속 49.6㎞, 고양이, 흰꼬리 ... ...
「냉동인간의 그후」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완벽하지 않은데 조직, 기관도 아니고 완전한 개체를 냉동시킨다는 것은 무모하기
짝
이 없다는 주장이다.또 해빙기술은 냉동기술보다 한 단계 더 어려운 기술인데, 여기에 대한 아무런 과학적 근거를 갖고 있지 못하다는 것도 지적되고 있다. 실제로 해빙시에는 어떤 세포나 큰 타격을 입게 돼 있다 ... ...
대폭발(BigBang)과 「거품」이론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것은 그것이 어떤 위치에 있을 확률뿐이다.위치-운동량과 같이 불확정성 관계에 있는
짝
을 공액변수(conjugate variable)라고 부른다. '에너지'와 '시간'역시 불확정성의 관계에 있는 공액변수이다.에너지와 시간의 불확정성을 설명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는, 우주공간에 임의의 국소공간을 상상해보는 ... ...
컴퓨터와 인간두뇌 뉴런컴퓨터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두뇌가 보편적으로 지니는 일반 범역 문제 해결 능력에 비교하면, 아직도 미흡하기
짝
이 없는 것이다.컴퓨터는 하루가 새롭게 발전하고 있으며 어느 단계에 가면 스스로 진화하는 단계가 올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인간의 두뇌와 컴퓨터를 현 시점에서 비교하는 것은 컴퓨터에 불리할 수 있다. ... ...
상처입고 돌아온 저어새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된 암컷은 먹는 것에는 별 관심을 두지 않는다. 봄바람이 나서 하루종일 하늘을 빙빙돌며
짝
짓기에 열을 올린다.그러다가 수컷을 찾지 못하면 주걱부리로 스스로 온몸을 정모하며 치장을 한다. 또 정수리 뒤의 깃털을 성난 것처럼 일으켜 세운 상태로 발정의 징후를 나타낸다. 이는 수컷을 부르는 ... ...
여름밤 별자리 찾아보기 우주의 신비에 빠져드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있남쪽을 향해 다시 몸을 돌리자. 땅꾼별자리를 지나 남쪽을 보면 붉게(그리고 밝게) 반
짝
이는 기분 나쁜 별이 하나 있다. 이것이 안타레스(Antares)이다. 바로S자로 구불거리는 전갈별자리의 머리 부분의 별인 것이다.전갈별자리 꼬리의 왼쪽(동쪽)에 자리잡은 별자리가 있다. 이 방향으로 본다는 것은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