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작
어림
추리
억측
상상
공상
추정
d라이브러리
"
추측
"(으)로 총 2,391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사람과 동물이 어떤 관계에 놓여 있었는지를 토대로 미래에 동물 원이 어떻게 달라질지
추측
했습니다. 1700년대 전에는 사람들이 고기를 얻기 위해 사냥을 했고, 1700~1950년 대까지는 사냥을 스포츠로 즐겼습니다. 이때는 무분별 한 포획을 막고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해 국립공원을 지 정하기도 했지요.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남세균이 물을 이용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고차원적인 광합성은 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추측
하고 있다.한 가지 원인은 화산활동의 영향으로 지구에 황이나 철 성분이 절대적으로 많았기 때문이다. 전자를 상대적으로 더 잘 내놓는(광합성은 이 전자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당으로 변환시킨다) 성분이 ... ...
Part 2. 퍼즐 즐기면 수학 실력 업!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이기게 된다는 걸 알 수 있다.이로부터 무조건 이기게 되는 경우가 n×n밖에 없다고
추측
할 수 있다. 따라서 초콜릿을 n×n 정사각형으로 잘라 상대방에게 넘기면 무조건 이긴다.퍼즐 풀면 수학 실력 는다!수학자나 되니까 퍼즐도 수학 문제처럼 푸는 거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렇다면 평범한 사람과는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오는 것을 최대한 분산시키기 위해 버스와 기차를 타고 가능한 한 먼 거리를 이동했다고
추측
하고 있다. 그리고 그 들뜬 마음이 가라 앉을 때까지, 잠시 학교를 쉬며 한동안 가뭄으로 고생하고 있는 나라들을 여행하고 다닌 듯 하다.- 2017년,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카멜레온 매력 지닌 프런클의
추측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사람 수만 충분히 많다면 프런클의
추측
의 99% 이상이 맞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프런클의
추측
에 반례가 있다면 매우 드물게 있다는 것이지요.이런 문제를 보면 아직 누구도 풀지 못했기 때문에 정말 어려운 문제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혹은 이렇게 쉬워 보이는 문제를 아직도 풀지 못했다니 ... ...
수학은 외계어!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했다.“다들 어디에 있지?”외계인과 대화하기 전에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질문이다.
추측
만 있을 뿐 아직 지구 밖에서 단 하나의 생명체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행히 외계인을 만날 가능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최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행성을 7개나 ... ...
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거짓된 역설로 분류될 것이다. 김 교수는 “불완전성의 정리는 인공지능이 골드바흐의
추측
이나 연속체 가설처럼 아직 참거짓이 결정되지 않은 명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장한다”면서, “다만 인간이 참거짓을 결정한 문제는 인공지능도 인간을 흉내 내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왕자의 도플갱어가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나왔을 확률’은 복제 전문가가 제안한 실험에서 깨어난 왕자가 구한 확률과 같다고
추측
할 수 있습니다. 2단계 반드시 가짜 왕자가 깨어나는 실험이번에는 ‘실험 B’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모든 조건은 실험 A와 같되 주사위의 눈이 홀수가 나오면 월요일 아침에 반드시 가짜 왕자만 깨우는 ... ...
인터뷰. 역설은 희망을 노래한다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하에서요. 조금 어렵지요? Q 정말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을 수 없나요?골드바흐의
추측
이나 연속체 가설처럼 당장 해결할 수도, 부정할 수도 없는 문제에 계속 도전하는 건 인간뿐이에요. 우리 인간이 해결 가능한 문제인지, 불가능한 문제인지 알게 된다면 인공지능에게 가르쳐줄 수는 있겠지요. ... ...
선을 넘은 사랑, 혜성을 만들고 죽이다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혜성처럼 지구로 돌아오는 시간이 250년 이상인 장주기 혜성은 오르트 구름에서 왔다고
추측
한다.오르트 구름에서 혜성이 탄생하는 이유도 조석력 때문이다. 지구의 바다가 달의 조석력 때문에 출렁이는 것처럼 오르트 구름도 큰 천체의 조석력을 받으면 출렁인다. 오르트 구름을 이루는 얼음덩어리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