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d라이브러리
"
포착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파이에겐 거짓말 탐지기 무용지물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누설할 생각인가?” 같은 막연한 질문을 하면서 거짓말 탐지기를 사용한다면 거짓말을
포착
하지 못하고 오판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연구진은 살인과 같은 특정범죄와 관련해 개인을 상대로 사용될 때는 언제 어디서 무엇을 했는지처럼 질문 자체가 초점이 분명하고 대답의 진위를 ... ...
지구대기 끝을 향해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설치한 반사경을 이용하여 지상의 천문대에서 달에 레이저 광선을 보내고 그 반사파를
포착
하여 측정한다미국의 맥도널드 천문대에서는 1968년부터 270cm 반사망원경을 레이저로 활용하여 거리 측정 관측을 하고 있다달 등의 전체가 수평선(지평선) 가까이 있을 때 천공(天空)에 있을 때보다 크게 ... ...
NASA 혜성탐사선 폭발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과정에서 폭발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사실은 수색작업에 동원된 지상 망원경들이
포착
한 콘투어 영상으로부터 추측됐다. 영상에서 콘투어는 몇조각으로 부서진 듯한 모습이었기 때문이다.8월 말 발표 당시 콘투어로부터는 일주일에 한번씩 약 8시간 동안 신호가 오고 있는 상태였다. 이전에 9일 ... ...
태양계 탄생 비밀 간직한 화석 혜성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핵이 있었다. 매우 어두운 핵과 함께 가스와 먼지가 뒤섞여 뿜어져 나오는 지역도
포착
됐다.한편 미국은 1978년에 발사한 국제태양지구탐사선(ISEE-3)을 국제혜성탐사선(ICE)으로 변경한 후 핼리혜성으로 급파했다. 이를 위해 1년 정도 걸린 복잡한 궤도계산에 따라 지구와 달 사이를 5회 스쳐가며 궤도를 ... ...
3. 물과 생명체 두마리 토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진실의 일면을 폭로해 왔다. 물이 흐른 흔적을 확인했지만 생명체의 흔적은 아직
포착
하지 못한 상태다. 이제 우리의 목표인 화성을 좀더 알 필요가 있다.더구나 사람을 화성에 보내기 위해서는 화성을 이전보다 더 자세하게 알아야 한다. 사람이 화성에서 탐사하고 연구하기 위해 사람을 보내기 ... ...
초상화 관상법으로 선조 질환 밝힌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통해 인물의 모습과 특정 사실을 기록해 왔다(①). 이 그림은 비록 한 인물만을 정확히
포착
한 초상화의 형태는 아니지만, 그림을 통해 의학적 사실을 그대로 재현한 ‘기록화’의 형태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 젊은 병사가 부상당한 늙은 동료병사를 열심히 치료하고 있다. 부상병은 아픔을 ... ...
인공위성으로 미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여기에 자외선 등을 조사(照射)했을 때 생기는 유리기(遊離基) 등의 중간체를 안전하게
포착
한 다음 이것을 분광적(分光的)또는 그 밖의 방법으로 측정하는 방법 강유전체의 내부에서 자발적 편극이 일정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소결정 영역 소결정은 전기편극의 주축 ±x, ±y, ±z인 6개 중 어떤 것이 ... ...
눈으로 단어를 입력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대셔를 이용해 눈으로 글자를 입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안구의 움직임을
포착
할 수 있는 카메라가 필요하고, 사용자는 의자에 똑바로 앉아서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스크린 키보드를 보면 세로 한줄로 알파벳 단어들과 기호가 표시돼 있고, 각 글자들은 각기 다른 글상자 속에 들어 있다. ... ...
이동통신이 지배하는 정보의 우주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이외에도 올림푸스와 MIT에서 손가락 끝 등에 장착한 가속도 센서를 사용해 손동작을
포착
하는 기기 등을 연구하고 있다.디스플레이의 경우엔 작은 패널로도 큰 시야각을 얻을 수 있는 HMD(Head Mount Display)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최근 일본의 미노루타사와 미국의 마이크로옵션사가 기존 안경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아마도 목성밖에 발견되지 않을 것이다. 행성은 별에 미치는 중력의 효과를 통해
포착
되는데, 현재 장비나 기술로는 목성 정도의 행성이 별에 미치는 효과만 관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비록 질량이 아주 큰 행성들밖에 발견하지 못했지만, 이들 주위에는 표면이 지구처럼 단단하고 질량이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