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크린
비데오
텔레비전
비디오
영사막
모니터
화상
d라이브러리
"
화면
"(으)로 총 1,92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수 없는 상처들이 많이 있다”고 설명했다.5 육지로 올라온 바닷물은 왜 빠져나가지 않나
화면
에서는 지진해일의 긴 파도가 육지 내부까지 쭉 밀고 들어왔다가 빠져나가지 않고 남아 있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지진해일파는 육지로 유입하는 힘뿐 아니라 다시 바다로 되돌아가는 복원력 또한 무척 ... ...
빅뱅이론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끈 장면은 바로 주제곡과 오프닝
화면
이다. 멋진 포즈의 주인공을 소개하는 전형적인
화면
대신 빅뱅이론은 오프닝에서 우주와 인류의 역사를 담았다. ‘모든 것의 역사’란 제목의 오프닝 곡은 ‘우리의 우주는 뜨겁고 압축된 상태였죠’라는 빅뱅이론을 설명하는 가사로 시작해 2분 안에 우주와 ... ...
스마트 라이프 만드는 차세대 이동통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 음성통화는 연속적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하지만 일단 정보를
화면
에 띄운 뒤에는 통신을 하지 않다가 사용자가 띄엄띄엄 터치할 때만 신호를 주고받는 데이터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4세대 이동통신인 LTE는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FDMA)’ 방식을 ... ...
차세대 전자부품 초박막 반도체를 칠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잉크롤러로 한번 쓱 밀면 반도체가 인쇄된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자동차 유리창 자체에
화면
이 바로 뜨는 내비게이션을 만들 수 있다.심장에 칠하는 초박막 반도체초박막 반도체는 유연하기 때문에 어떤 모양의 물체에도 붙을 수 있다. 고 교수팀은 표면에 구멍이 잔뜩 난 골프공에도 초박막 ... ...
포옹과 키스를 알아내는 컴퓨터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TV
화면
과 같은 영상에서 두 사람이 포옹하거나 키스하면 이를 바로 알아낼 수 있게 됐다. 지난해 12월 22일 영국 옥스퍼드대는 과학공학부 알론소 파트론페레스 교수팀이 사람과 사람 사이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인식 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어떤 영상에서 두 사람이 포옹 또는 키스나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면적의 레이더 전파를 반사해 돌려보낸다. 레이더는 이런 전파를 받아 물체를 식별하고
화면
에 표시하는 것이다. 결국 효율이 높은 스텔스기는 전파 반사도가 낮은 비행기라는 뜻이 된다. 하늘을 나는 새의 반사도는 0.01㎡, 벌레는 0.001㎡ 정도다. 완벽한 스텔스기를 만들려면 이 정도 수준까지 ... ...
공항에서 소시지를 빼앗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통과할 때 엑스선 검사기로 짐의 내용물을 확인한다. 노련한 세관 직원들은 엑스선
화면
만 보고도 거의 모든 물품을 식별해 낼 수 있다.] “사람이 가장 막기 어렵다”그렇다면 공식적으로 수입하는 축산물은 어떨까. 수입 축산물은 모두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서 검사를 받는다. 한국은 청정국의 ... ...
‘2010 노벨사이언스 국가안보체험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신궁’을 발사하려고 아이들이 길게 줄을 섰다. 진짜 무기가 아니라 가상 현실 장치다.
화면
에 적군의 전투기가 보이자 장치에 앉아 있던 아이가 방아쇠를 당긴다. 신궁을 발사해 전투기를 격추시킬 때마다 구경하는 아이들이 “와아” 함성을 지른다.2010년 12월 10일부터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 ...
컴퓨터 없인 금융 없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이 팝업창에 있는 이름 칸에 임의로 oddsum이라고 쓴 뒤 확인 버튼을 누르고 이때 만들어진
화면
에 그림처럼 프로그램 명령어를 입력했습니다. 다시 엑셀로 돌아와 시작이라는 단추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단추를 누르니 1부터 1000 사이의 홀수를 더한 답 250000이 첫 번째 칸에 나타났습니다. 이걸 본 ... ...
2050 미리 가 보는 미래의 크리스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거예요. 바로 홀로그램이랍니다. 홀로그램은 눈에 들어오는 빛의 거리를 조절해서
화면
속 물체를 입체로 보여 주는 기술이지요. 2010년 11월에는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 연구팀이 홀로그램으로 동영상을 전송하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이전에는 정지해 있거나 평면에 비친 영상으로만 홀로그램이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