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레기
DNA
역할 찾았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작동하도록 켜거나 끄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스위치다.프로젝트팀은 이번 연구로 ‘
DNA
백과사전(ENCODE)’를 완성했다고 학술지 ‘네이처’에 9월 6일 발표했다 ... ...
‘과학동아’ 청소년기자단 농촌진흥청을 가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이범규 박사님은 강의에서 “유전공학은 여러 가지의 문제들이 뒤따른다. 가령 포도의
DNA
속에 해충저항 능력이 있다는 것을 찾아냈을 때 그것은 해당 유전자의 역할을 밝혀내는 것이지 전혀 다른 종에 해당 유전자를 주입했을 때, 그 유전자가 어떠한 역할을 할지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 ...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때문이다.마다가스카르에 사람이 처음 온 것은 불과 2000년 전. 올해 발표된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에 따르면 그들은 인도네시아에서 왔고, 당시 약 30명의 가임여성이 있었다고 한다. 마다가스카르 사람들은 쌀농사를 지으며 인도네시아 사람들이 사용하는 배를 이용해 물고기를 잡는다. 그들은 ... ...
녹색 마녀의 비밀 WICKED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많다”며, “인간의
DNA
중 절반은 바이러스가 집어넣은 외부
DNA
이고 이들은 ‘쓰레기
DNA
’로 분류돼 실제로 발현되는 일이 없다”고 말했다.그렇다면 엽록체를 배제한 다른 방법은 없을까. “녹색형광단백질(GFP)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간단한 방법”이라고 금 교수는 말했다. 오늘날 실험실에서는 ... ...
진돗개는 과학적으로도 ‘한국 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품종이 다른 개 79종과 비교했어요. 그 결과 다른 개가 갖고 있지 않은 고유한
DNA
부분을 아홉 개나 찾아냈어요. 진돗개가 고유한 품종이라는 증거지요.연구팀은 진돗개의 게놈 지도도 만들었어요. 독일 과학자들이 알아낸 복서라는 개 품종의 게놈과 비교했더니 유전적으로 0.2% 정도 다르게 ... ...
Bridge 2. 암컷의 영악한 선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호환돼 자손들의 면역력이나 발현이 좋아지므로 여러 마리의 수컷과 교미해 이런 특정한
DNA
를 만날 확률을 높인다는 가설이다.암컷이 일처다부제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양질의 수컷을 선택함으로써 자식의 생존력을 높이는 것이다. 이것은 ‘좋은 유전자 가설’이다. 남미에 사는 ... ...
성의 있는 기사는 좋은 정보가 된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재밌게 설명해 주셨습니다. 이후 친절한 농촌진흥청 연구원분들의 지도아래
DNA
칵테일 만들기, GM작물바로알기, GM작물 검정하기, 식물원 및 연구실 견학 등으로 이어졌습니다. 모두 즐겁게 열심히 체험에 임하는 모습이 대견했답니다. 이날 행사 내용은 10월호에서 청소년 기자들의 기사 등으로 ... ...
비소 박테리아는 없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더했다. 추출한
DNA
에 존재하는 비소는 인
DNA
골격에 참여한 것이 아니라 비소 성분이
DNA
가 침전될 때 딸려 붙어있게 된 것일 뿐이라는 것. 실제로 세척 과정을 거치자 비소가 거의 사라졌다.좀 더 확실한 검증을 위해 액체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비소가 인을 대신했을 때 나와야 ... ...
지식과 취재와 기사를 연결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GMO) 등 우리의 먹거리, 환경과 관련된 생명공학을 연구하는 농촌진흥청의 연구원과 함께
DNA
칵테일 만들기 등 재미있는 활동도 하고 연구현장을 둘러보며 궁금증도 풀 수 있습니다. 임명장도 받아가세요. 이번 활동은 정기자 여러분의 기사로도 소개될 예정입니다. 자세한 일정은 개별 연락합니다.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회절무늬를 본 것이지
DNA
의 이중나선 구조를 실제로 본 것은 아니다. 그러나 X선으로
DNA
가 이중나선 구조임을 직접 눈으로 볼 날이 멀지 않았다. 바로 ‘극한광’을 이용한 ‘결맞음 X선 회절 이미징’ 기술을 통해서다.이름이 극한광인 이유그런데 왜 ‘극한광’일까. 극한광응용기술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