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공
유원지
장인
파크
장색
공장노동자
기술자
뉴스
"
공원
"(으)로 총 969건 검색되었습니다.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
과학동아
l
2016.11.04
들어오는 것은 물론 지하에서도 하늘을 올려다 볼 수 있게 했고, 로라인과 유사한 형태의
공원
수십 개를 만들어 항상 깨끗한 공기를 유지할 수 있게 했다(위 사진). 고대와 현대, 그리고 미래의 지하도시는 저마다 모습은 다르지만 인간이 동원할 수 있는 가장 첨단의 기술을 반영했다는 공통점이 ... ...
다리 414개 생명체 발견돼
2016.11.01
받은 노래기 모습이다. 동굴 생물학자인 진 그레이사가 미국 캘리포니아 세퀘이아 국립
공원
에 있는 한 동굴에서 발견한 이 노래기는 새로운 종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길이가 2센티미터인데 다리가 무려 414개이다. 그리고 생식기는 4개다. 다리가 정액을 전달할 수 있도록 오랜 시간을 거쳐 변형된 ... ...
사람들을 쫓아오는 대형 곰 ‘공포’
2016.10.31
이 과정은 카메라에 오롯이 촬영되었다. 영상은 지난 8월 미국 몬태나 글래시어 국립
공원
에서 촬영한 것인데 지난주 해외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화제가 되었다. 등산객들은 한 폭포 근처에서 거대한 회색 곰을 발견했다. 딸기 같은 것을 따먹던 곰은 사람을 발견하고는 천천히 다가오기 시작했다. ... ...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 성황리에 막 내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0.25
등에 많은 학생과 시민이 몰렸다. 주제관 입구에서부터 길게 늘어진 길이 놀이
공원
을 연상케 할 정도였다.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을 찾은 학생과 시민들이 체험 프로그램을 즐기고 있다. - 대전마케팅공사 제공 한쪽에서는 최상현 셰프가 요리에 과학이 접목된 분자요리를 선보였다. 음료수를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왜 우리는 잔디를 사랑할까
2016.10.23
이루지 않는 환경을 인간이 선호한다고 추측했다. 여기 비춰본다면 GMF가 열리는 올림픽
공원
잔디 광장도 넓은 평지지만 벤치, 가로수, 공연장 등이 있어 완전한 대칭은 아닌 셈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인간이 이런 환경을 선호하게 된 것은 오랜 수렵 생활 때문이다. 탁 트인 초원은 멀리서도 ... ...
표범을 공격하는 사자 ‘포착’
2016.10.23
영상이 동영상 사이트에 화제를 일으키고 있다. 촬영 장소는 남아프리카 크루거 국립
공원
에 있는 동물보호구역 사비 샌즈. 가이드인 매튜 풀이 지난 10월 4일 관광객을 이끌고 갔다가 희소한 장면을 바로 코앞에서 목격했다. 사자와 표범이 으르렁거리고 전광석화 같이 반응하는 순간이었다. 시비를 ... ...
하늘에 떠서 잠자는 여자? ‘맑은 호수 착시’
2016.10.16
보인다. 하늘을 나는 마법사의 모습일까. 사진은 미국 몬태나에 있는 글래시어 국립
공원
에서 촬영된 것이다. 호수 물이 맑고 맑다. 마치 없는 것 같다. 물이 보이지 않으니 물 위에 뜬 사람은 허공에 부양한 것처럼 보이게 되어 있다. 맑은 호수가 허락한 마술 같은 장면이다. 해외 SNS에서 감탄을 ... ...
하마 이빨에서 아프리카 초원의 미래를
과학동아
l
2016.10.16
때 식생이 어떻게 달라질지도 추측할 수 있다. 연구팀은 우간다의 엘리자베스여왕국립
공원
에서 1960년대부터 2000년까지 수집된 하마의 이빨에 들어 있는 탄소동위원소 비율을 분석했다. 그 결과 1960년대에는 난지형목초 같은 C4 식물이 먹이의 80% 이상을 차지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비율이 65%까지 ... ...
800년전 부메랑에 희생된 전사
2016.10.16
아니라 전쟁 무기로도 사용되었다는 말이 된다. 이 유골은 2년 전 호주 동부 토렐 국립
공원
에서 발굴되었다. 인류학자들은 20~30대인 원주민 유골이 1800년대 영국에서 온 군대에 의해 희생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했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연대가 800년전 까지 이르며 두개골의 날카로운 상처는 ... ...
야생 꼬리감기원숭이의 기억력, 이 정도였어?
2016.10.15
위해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실험은 아르헨티나 북동부에 위치한 이과수폭포 국립
공원
에서 진행되었는데요. 먹이의 양을 다양하게 설정한 8개의 취식지(feeding site)를 설치하고 그곳에 방문하는 원숭이들을 관찰했습니다. 각 취식지의 나무에는 처음엔 익지 않은 열매들을 갖다 두고 시차를 두어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