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뉴스
"
관여
"(으)로 총 1,72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과학전쟁] PCR보다 빠르고 간편한 분자진단 기술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1
분자는 보통 DNA나 DNA가 지닌 유전정보에 따라 필요한 단백질을 합성하는 데
관여
하는 핵산인 RNA를 뜻한다. 이들은 질환을 판단하는 체내 지표인 ‘바이오마커’의 일종이다. 분자진단은 그동안 암이나 당뇨와 같은 대사질환에 주로 활용됐다. 식중독이나 감염질환의 경우 계절적 요인이 ... ...
美CDC "코로나 백신 맞은 29명 알레르기 면역반응…대부분 위험성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항체다. IgE는 전체 항체의 0.05% 수준으로 적게 만들어지며 주로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
한다. IgE는 ‘비만세포’라는 면역세포 표면에 붙어 있는데, 알레르기 유발 물질(알레르겐)이 들어오면 신경전달물질의 일종인 히스타민을 분비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다. 아나필락시스는 이 같은 알레르기 ... ...
어린이나 어른이나 기억 조절 핵심은 ‘별아교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예상했다. 신경교세포는 뇌나 척수에서 신경세포의 면역작용이나 뇌 조직의 손상 회복에
관여
한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신경교세포 중 가장 흔한 세포인 별아교세포가 시냅스를 먹어치워 제거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바 있다. 정 교수팀은 뇌가 발달하는 시기에 별아교세포가 불필요한 ... ...
영국발 변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2명 늘어 변이바이러스 확진 총 12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분류돼 전세계적으로 유행했다. 지난달 31일 WHO에 따르면 D614G 변이가 전파력 증가에
관여
한 것으로 확인되지만 병원성이나 치료제, 백신 등에 영향을 주는 특성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밍크 변이는 2020년 8월 이후 덴마크 북부 지역에서 밍크로부터 사람으로 감염된 사례에서 확인됐지만 ... ...
英 연구진 “변이 바이러스, 감염재생산지수 최대 0.7 증가시켜”
동아사이언스
l
2021.01.03
변이가 일어난 부위가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인간의 숙주세포와 결합에
관여
하는 영역이며, 숙주세포에 더 잘 결합하도록 변이가 일어났다는 정도만 알려져 있다. 변이 바이러스가 어떻게 강력한 전파력을 갖게 됐는지 근본적인 이유에 대해서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현재 접종을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없어 스피처를 아주 느린 데이터 전송 모드로 계속 운영할 수도 있었지만 스피처 미션에
관여
했던 모든 사람과 논의한 끝에 은퇴를 결정했다”며 “스피처는 처음부터 끝까지 훌륭한 과학(great science)을 해냈으며 스피처에 참여한 연구자들은 자신의 커리어에 많은 부분을 스피처와 함께 할 수 있어 ... ...
한국 연구팀 ‘남극이빨고기’ 유전체 전체 세계 최초로 해독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21개의 유전자 군에서 적응과 진화의 흔적이 확인됐다. 생명체의 성장이나 발달에
관여
하는 유전자에서 특이점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특이점이 남극 바다처럼 추운 곳에서 몸집을 키울 수 있었던 요인이라고 예측했다. 진화 과정에서 남극이빨고기의 세포막 성분 중 하나인 스핑고지질 ... ...
루게릭병 막는 신경보호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LSM12 유전자는 RAN 단백질 농도 분포를 정상으로 돌려놓는 'EPAC1' 단백질을 만드는 데
관여
한다. 연구팀은 루게릭병 환자의 줄기세포에서 신경세포를 만든 후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LSM12 유전자 경로를 활성화했다. 그러자 루게릭병 환자의 신경세포에서 관찰되던 세포 독성이 사라지는 ... ...
올해의 10대 과학뉴스에 한국산 진단키트·세계 첫 코로나19 유전자 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하는 기능이 있음을 밝혀 파킨슨병과 치매 등 다양한 질병에
관여
하는 미토콘드리아 원리를 밝힌 연구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미국 드렉셀대 등이 공동으로 개발한 스텔스 기능에 전자파까지 차단하는 맥신 소재 개발 연구도 올해의 연구개발 성과로 선정됐다. 과총은 ... ...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 암 전이 늘리는 '비번역 RNA' 발견
연합뉴스
l
2020.12.23
종양 RNA MaTAR25, 세포 이동
관여
하는 텐신1 유전자 조절 비번역 RNA, 암 치료제 표적 가능성…'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논문 길고 뻣뻣한 액틴 필라멘트(녹색)를 손가락처럼 사용해 이동하는 암세포(우측). 암세포 가장자리에 신호전달 단백질 팍실린(적색)이 몰려 있는 게 군데군데 보인다. 이와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