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뉴스
"
궤도
"(으)로 총 2,458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 손으로 만든 로켓으로 우리 위성을 우주에 올려놓은 순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위성보호 덮개(페어링) 분리 등 어려운 기술을 다시 한번 성공하면서도 누리호의 우주
궤도
투입 성능을 증명했다는 평가다. 발사 이후 눈여겨볼 것은 큐브위성 사출 과정이다. 발사 일주일 뒤 큐브위성 사출을 시작해 이틀 간격으로 4기 모두 사출한다. 큐브위성 사출 기술의 검증무대가 될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길은 열렸다. 할 수 있는 일은 무궁무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말했다. 누리호는 길이 47.2m, 무게 200t으로 무게 1.5t의 인공위성을 600∼800㎞인 지구 저
궤도
(LEO)로 실어나르는 우주발사체다. 2010년부터 1조 9572억원을 들여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했다. 지난해 10월 첫 발사에 도전했으나 3단 엔진이 계획보다 일찍 꺼지면서 발사에 실패했다. 2차 발사 역시 기상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이스라엘·이란·북한보다 늦었지만…7번째로 1t급 실용위성 발사 능력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개발된 한국형발사체(KSLV-2) 누리호가 21일 성공적으로 위성 모사체(모형 위성)을 목표
궤도
에 올려놓으면서 한국은 자국 땅에서 자국 로켓에 자국 위성을 우주로 실어나르는 독자 기술력을 세계 11번째로 확보하게 됐다. 한국은 오늘부터 독자 우주개발이 가능한 국가의 반열에 올랐다. 해외 자료를 ... ...
한국 독자 우주발사체 능력 확보했다...누리호 두번째 시도끝에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위성보호 덮개(페어링) 분리 등 어려운 기술을 다시 한번 성공하면서도 누리호의 우주
궤도
투입 성능을 증명했다는 평가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한국 우주의 미래가 활짝 열렸다”며 "한국은 우리 땅에서 우리 손으로 위성을 우주로 쏘아 올리는 7번째 나라가 됐다"고 말했다. ... ...
[속보]누리호 발사 성공...위성
궤도
에 성공적으로 안착시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누리호 2차 발사 ...
[속보] 누리호 2차 발사 성공 "위성
궤도
에 성공적으로 안착해"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 ...
"누리호 발사 성공 기준은 초속 7.5km 700km 상공에 위성 올려놓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판단의 기준은 A 2차 발사의 가장 주안점은 누리호가 1.5t의 무게를 싣고 목표로 하는 700km
궤도
에 올라가 초속 7.5km 속도로 성능검증위성과 모사체를 올려 놓느냐다. 그 다음으로 162kg 정도의 성능 검증 위성을 탑재하고 있어서 그 성능 검증도 중요하고 큐브 위성들이 제대로 작동하는 지도 살펴봐야 ... ...
[생중계] 누리호 오후 4시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3단 엔진문제 원인 밝힌다..."전담평가단 대거 포함될 것" "한국 국가 안보위성
궤도
에 올리는 첫 발 떼" 외신들이 본 누리호 발사 의미 [과학촌평] 누리호 발사는 ‘이벤트’가 아니다 누리호 비정상 비행 '예상외 복병' 7t급 3단 엔진 누리호 3단 7t 엔진 목표 연소시간 채우지 못하고 비정상 비행…목표 ... ...
과기정통부 누리호 1.5t 위성 발사능력 검증한다더니 발사 1시간여 앞두고 성공기준 축소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궤도
에 올릴 경우를 누리호 성공 기준으로 판단하기로 했다"며 중대형 위성
궤도
투입 능력을 성공 기준에 두지 않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내놨다. 하지만 과기정통부 관계자들의 이번 발언은 과기정통부가 발사에 앞서 홍보자료집에 소개한 내용과 정면 배치된 것이어서 주목된다. ... ...
누리호 오후 4시 발사 확정 "날씨·우주물체·준비 상황 양호"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예상된다. 누리호는 길이 47.2m, 무게 200t으로 무게 1.5t의 인공위성을 600∼800㎞인 지구 저
궤도
(LEO)로 실어나르는 우주발사체다. 300t급 추력을 갖춘 1단은 75t급 액체엔진 4개, 2단은 75t급 액체엔진 1개, 3단은 7t급 액체엔진을 장착하고 있다. 2010년부터 1조 9572억원을 들여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했다.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