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뉴스
"
천문
"(으)로 총 2,29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산업 리포트]우크라이나 전쟁은 우주기업 스페이스X에 무슨 기회를 주었나
2022.03.04
지나가는 인공위성 때문에 지상에서 우주를 제대로 관찰하는 것이 어렵게 됐다는
천문
학계의 비판이 대표적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스타링크의 이러한 부정적 이미지를 희석할 기회를 제공했다. 일론 머스크는 러시아의 침공을 받아 통신 인프라가 파괴된 우크라이나에 스타링크 서비스와 ... ...
2029년 아포피스 탐사는 왜 한국의 독자 우주개발을 완성하는 '화룡점정'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동행비행 기술은 미래가 아닌 현재의 상업기술이자 안보기술"이라고 말했다.
천문
연에 따르면 아포피스 사업의 경제성 분석 결과는 0.73이다. 기업 매출 증가 편익과 우주자권 채굴 편익 등을 통해 투자금 대비 73%에 해당하는 비용을 회수 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최 첵임연구원은 “국산 부품의 ... ...
2022년 발사체·위성·우주탐사 다한다...7340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우주개발 역량 강화도 적극 추진된다. 올해 6월 국제우주쓰레기조정위원회(IADC), 8월 국제
천문
연맹총회과 UN 우주와 여성 워크숍 등 우주분야 국제행사를 국내에서 개최하고, 주요 신흥 우주개발국을 대상으로 실무회의·워크숍을 개최하는 등 국제우주협력 네트워킹을 강화할 계획이다. 여섯 번째 ... ...
[과학게시판] 제1기 인공지능 윤리 정책 포럼 출범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호랑이해 우리나라 하늘 그리고 우주’를 주제로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호랑이해 주요
천문
현상을 소개한다. CNCITY마음에너지재단은 이경미 작가의 설치미술 작품을 선보인다 ... ...
천문
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블랙홀은 원형"
연합뉴스
l
2022.02.23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하는 데 최적의 대상이다. 이 블랙홀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천문
학자들은 지구상 여러 전파망원경을 연결하는 VLBI(초장거리 전파간섭계) 기술을 적용, 망원경 사이 거리만큼 큰 구경을 가진 가상의 망원경을 만들었다.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을 중심으로 일본(VERA ... ...
루비와 사파이어 보석 비가 내리는 외계행성 WASP-121 b
연합뉴스
l
2022.02.22
행성인 WASP-121 b의 대기를 3차원(3D)으로 구성해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천문
학'(Nature Astronomy)에 발표했다. WASP-121 b는 지난 2015년에 처음 발견됐으며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돼 왔다. 질량과 크기가 목성의 1.18배와 1.81배에 달하며, 30시간 주기로 태양과 비슷한 별을 돌고있다. ... ...
한국 주도 국제 연구팀 폭발 직후 초신성의 빛 포착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1
KMTNet 망원경을 통해 Ia형 초신성을 포착한 장면을 형상화했다.
천문
연 제공 국제 공동 연구팀이 폭발 후 1시간 밖에 되지 않은 ‘Ia형 초신성’의 빛을 포착했다. Ia형 초신성은 폭발 시 ... 국제학술지 네이처 아스트로노미에 18일 공개됐다. 관측한 초신성의 위치를 확대했다.
천문
연 ... ...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려운 웹 망원경 관측 시간 따내기
연합뉴스
l
2022.02.16
연구자를 선정해 왔으며, 웹 망원경 관측 시간 배정에서도 이를 적용했다. 미시간대학
천문
학 박사과정 대학원생으로 해왕성 궤도 앞뒤에서 태양을 도는 트로이 행성 관측 제안서를 내 25시간을 배정받은 라리사 마크워트는 스페이스닷컴과의 회견에서 "DAPR이 없었다면 웹 망원경 관측시간을 배정 ... ...
"웹 우주망원경, 관측이 이론을 이끄는
천문
학 시대 만들 것"
연합뉴스
l
2022.02.15
발전뿐만 아니라 우리 실생활의 질을 높이는 다양한 기술을 창조해냈다며 우주과학,
천문
학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지원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우주는 막연한 동경의 대상이 아닌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누구나 구체적인 꿈을 펼칠 수 있는 공간이 됐다"며 "웹 우주망원경은 앞으로 20년 이상 ... ...
양자컴퓨터의 미래, 장밋빛일까 악몽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2.14
어려운 것은 숫자가 많아지면 작동 에러율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김도현 서울대 물리
천문
학부 교수는 이날 ‘양자컴퓨터의 현황과 기술적 도전’을 주제로 발표에 나서 “큐비트의 숫자가 늘어나 에러율이 높아지면 양자 컴퓨터를 구현하기 힘들다”며 “큐비트 칩을 아무리 잘 만들어도 그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