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1,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른손잡이는 시계방향 가마 가져과학동아 l200310
- 오른손잡이 중 90% 이상에서 정수리 가마의 소용돌이가 시계방향으로 도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왼손잡이나 양손잡이는 가마의 방향이 반반인 것으로 나 ... 따라서 손의 우선권이 서로 다른 일란성 쌍생아가 존재하는 현상도 설명된다. 이 연구결과는 ‘유전학’(Genetics) 9월호에 실렸다 ... ...
- 손해보기 거부하는 원숭이과학동아 l200310
- 에모리대의 사라 브로스넌 교수팀은 꼬리감기 원숭이(Cebus apella)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원숭이도 공평성의 개념을 갖고 있다고 ‘네이처’ 9월 18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열두마리의 꼬리감기 원숭이를 두 그룹으로 나눠 다른 우리에 가뒀다. 이들은 교환 주화인 플라스틱 토큰을 먹이와 ... ...
- 1 예수의 동생 유골함은 가짜과학동아 l200310
- 토리노 성의엔 예수의 얼굴이 나타나있다고 한다. 그러나 1988년 탄소동위원소 연대측정결과 이 아마천은 13세기의 것으로 판정됐다. 그렇지만 지금까지도 토리노 성의의 연대나 진위 여부에 대한 논쟁은 끊이지 않고 있다. 야고보 유골함과 요아스 비문이 또다른 토리노 성의가 될지 두고 볼 일이다 ... ...
- 1 나노 고지 달성 위한 베이스캠프, 나노팹과학동아 l200310
-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다줄 양자컴퓨터 연구개발을 위한 장비들이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는 나노소자와 소재의 제작에도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아직은 존재하지 않는 장비와 기술의 도출과 개발로 이어져 기술기반의 획득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나노와 바이오 융합연구 수행하는 ... ...
- 4 광촉매로 에너지 추가 없이 수소 생산과학동아 l200310
- 광촉매를 개발해 자외선을 쬔 결과 수소 발생량을 크게 증가시키는데 성공했다. 이 결과는 미국의 화학학술지인 ‘케미컬&엔지니어링 뉴스’에 게재됐다. 이 교수는 같은 빛에너지에서 수소의 발생효율을 기존 5%에서 23%로 크게 향상시켰다.하지만 우수한 효율에 비해 페롭프스카이드 광촉매는 ... ...
- 인간 배제된 채 기계 액션만 난무 터미네이터는 돌아왔는가과학동아 l200310
- 2’에서 여전사 사라 코너는 심판의 날을 막기 위해 사이버다인사를 폭파시켜버렸다. 그 결과 심판의 날은 오지 않았다. 여기서부터 일이 꼬이기 시작한다. 심판의 날이 오지 않는다면 존 코너의 미래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 인류의 지도자가 아닌 평범한 삶을 살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친구이자 ... ...
- 나라마다 개성 다른 영어과학동아 l200310
- 제2외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끼리 영어로 대화를 하면 서로 더 잘 알아듣는다는 연구결과가 ‘미국음향학회저널’ 최신호에 실렸다.미국 노스웨스턴대의 테사 벤트 박사와 앤 브래드로 박사는 영어를 배우고 있는 중국, 한국, 방글라데시, 인도, 일본,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스페인, 타이 학생들, ... ...
- 자동 주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과학동아 l200310
- 발달했다임상실험에 따르면 동물의 난소에는 세포분열 저해물질이 있고 그 결과 동물의 알은 난소 안에서 분열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한다생체의 상태를 세포 단계에서 연구하는 생리학의 한 분야 물질대사 · 흥분성 · 자극감수성 · 성장 · 생식 등 세포가 가진 생명체의 특성과 세포적 기능을 ... ...
- 부작용 없는 제2의 비아그라 개발된다과학동아 l200310
- 이 구조를 바탕으로 치료약이 개발돼 1990년대 중반부터 억제제가 시판되고 있다. 그 결과 미국의 1997년 상반기 에이즈로 인한 사망자는 1996년 상반기에 비해 44%나 줄었다. 이제 선진국에서는 에이즈가 당뇨병이나 고혈압같은 일종의 만성질환으로 여겨지고 있다.1999년 길리아드(Gilead)와 바이오타 ... ...
- 3 달팽이가 제시한 인간 기억 메커니즘과학동아 l200310
- 시키면 뇌의 일정한 영역이 확장되는 것이다. 인간의 두뇌 역시 이와 비슷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두뇌의 기능을 시냅스와 신경세포를 통해 환원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은 에클즈와 카츠, 호지킨, 칸델 등의 여러 학자에 의해 이뤄졌다. 이들은 20세기 신경과학의 발전을 주도했는데, 모두 노벨 ... ...
이전7167177187197207217227237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