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을 알면 더 사랑하게 돼요!” 최재천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모든 것을 처음부터 공부하면서 결국 뛰어난 동물행동학자가 되고야 맙니다. 미국
대학
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동물행동학 교수로 인정받으면서‘젊은과학자상’을 받았고 국내에서는 동물행동학을 재미있게 다룬 책들을 쓰면서 과학문화를 널리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정말로 좋아하는 ... ...
하늘을 감동시킨 과학자 황우석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19호
그 당시‘소를 알지 못하면 아무 것도 못한다’라는 마음가짐으로 연구를 했다고 해요..
대학
을 졸업한 후 교수님은 일본에서 연구원 생활을 하셨습니다. 일본에서 교수님은 인공수정을 비롯한 다양한 가축번식 관련 기술을 손에 익히고 그때부터생명과학이 자신이 해야 할 일이라는 느낌을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불리는 국제공동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벨실험에는 필자(권영준)를 포함, 한국의 8개
대학
에 소속된 20여명의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는 반면 아쉽게도 바바실험에는 필자(원은일)를 제외하고는 미국에서 연구하고 있는 한국인이 몇 명 참여하고 있을 뿐이다. 두 실험 모두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시킨 ... ...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100만 달러, 상 이름은 ‘노진스상’(Know-Genes Award)으로 정해졌다. 세계 유명한 연구소와
대학
에 있는 생명과학자들이 경쟁적으로 이 대회에 참가했다.5년 뒤인 1995년 생명체 중에서는 처음으로 ‘해모필러스 인플루엔자’라는 미생물의 게놈(유전체)이 밝혀졌다. 이 미생물은 약 180만개의 염기로 ... ...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태생 하이델베르크·뮌헨·괴팅겐·파리 등지에 유학, 1866년 페테르부르크 공과
대학
교수로 부임하고 81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할로겐을 검출하는 방법의 하나 러시아의 화학자 F K 바일슈타인이 고안하여 이렇게 명명되었다구리선을 분젠버너로 가열한 다음 여기에 미량의 ... ...
패스트푸드, 비만의 주범?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더 활동적이어서 오히려 비만이 되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안산1
대학
식품영양학과 정진은 교수도 최근 한국인의 설탕 섭취량과 비만이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정말 설탕이나 과당과 같은 당분이 비만과 관계가 없을까?정 교수는 “설탕 자체가 비만과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조건에서 이처럼 환상적인 모습을 그려낸다. 이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 폴리머를 전공한
대학
원생 싱 수는 얇은 막의 폴리스티렌에 전기를 걸었다고 한다. 그러자 얇은 막의 표면에 불규칙한 모양이 증폭되면서 이런 형상이 나타났다. 광학현미경으로 찍었다. 이 사진은 미 과학재단이 지원하는,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설립된 생명공학기업인 알나이람(Alnylam)뿐 아니라 시르나사를 비롯한 많은 제약회사와
대학
연구진들이 여러 종류의 암과 에이즈 바이러스, 간염 바이러스,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siRNA를 개발 중에 있다.식물학자들 역시 RNA 간섭 기술에 적극적이다. RNA 간섭 기술을 식물에 ... ...
목소리가 매력적이면 성생활도 왕성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밝혔다.연구팀은 1백49명의
대학
생을 대상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녹음하게 한 뒤 다른
대학
생들이 그들의 얼굴을 보지 않은 채 목소리에 대한 매력도를 평가하도록 했다. 또 목소리를 녹음한 학생들이 자신의 성생활과 관련된 익명의 질문서를 작성하게 했다.연구 결과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공동연구 위력 증명한 유비퀴틴이스라엘로 귀국한 허쉬코 박사 연구실에 1977년
대학
원생이 들어왔다. 이 학생이 바로 시카노버 박사. 이때부터 두 사람의 기나긴 인연이 시작된 셈이다. 이들의 연구 목표는 여전히 단백질 분해에 ATP가 필요한 이유를 규명하는 것이었다.미국에서부터 간세포추출물을 ... ...
이전
717
718
719
720
721
722
723
724
7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