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트레스 받으면 코가 차가워진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화가 나거나 창피한 일을 당하면 얼굴이 닳아 오르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런데 스트레스를 받으면 오히려 코 온도가 낮아진다는 실험결과가 발표됐다.일 ... 은 적외선 카메라와 일반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컴퓨터로 합성해 얻을 수 있는데, 얼굴에
직접
센서를 붙이지 않아도 돼 편리하다 ... ...
1. 1993년부터 인간복제 시작됐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장래에 인간복제가 성공될 수 있으리라 예견하고 있다. 하지만 포유동물의 복제를
직접
연구하고 있는 많은 과학자들은 이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인 시각을 갖는다.일란성 쌍둥이 원리 적용한 인간복제 실험미국의 프레드릭 국립암연구소의 콜린 스트워트 박사는 “양의 복제는 성공했으나 다른 ... ...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머리를 쓰는’ 곳이 있다. 상설전시관 옆에 위치한 탐구관이다. 한마디로 전시품을
직접
조작하고 작동시켜 과학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탐구학습의 장이다.탐구관에 들어서면 여기저기 배치돼 있는 15여점의 각종 기구들이 눈에 들어온다. 3-4명이 한 조를 이뤄 특별한 순서 없이 전시관을 돌며 ... ...
우주탐사의 심장부 고다드 우주센터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두차례에 걸쳐 홉킨스자외선망원경(HUT)을 띄웠다. 이때 샘 듀런스박사는 셔틀에
직접
탑승해 천체스펙트럼을 촬영했다. 90년과 95년 NASA에서는 우주왕복선에 홉킨스망원경 등 4대의 장비를 싣고서 천체사진을 찍었는데, 이것을 아스트로(Astro) 임무라고 부른다(과학동아 95년 5월호). 특히 아스트로-2는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심폐기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사용 초기에는 혈액에 산소를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이 사용됐다. 그러나 혈액이 가스와
직접
접촉하면 적혈구가 파괴되거나 단백질이 변성하는 등 손상을 받기 쉬워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지 못한다. 이를 방지할 목적으로 막을 사이에 두고 혈액이 가스와 접촉하는 원리의 막형 심폐기가 개발됐다 ... ...
Ⅳ. 인공장기, 고부가가치 낳는 21세기 첨단분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세포를 한번 배양해주는데 요구하는 비용만 해도 평균 5백만원 선이라고 한다. 배양 이후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부가가치는 계속 증가할 것이다.현재 연구가 가장 활발한 나라는 미국이다. 약 30개의 기업체와 20여개의 대학에서 연구를 수행중이다. 다른 분야에 비하면 이제 ... ...
우리나라 송전의 새 장 열어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함께 건설된 통신계통에 유도장애를 줄 우려가 있었다.결국 필자가 추진했던 중성점
직접
접지방식이 송전은 체신부, 교통부 등의 거센 반바를 샀다. 하지만 꾸준한 설득과 통신장애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충분히 보상하겠다는 조건으로 합의를 이뤄냈다. 1968년11월3일로 손전계통이 드디어 ... ...
웹인터내셔널 대표 윤석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위해서는 개념과 간단한 테크닉을 교육하는 한편, 인터넷이 얼마나 유용한가를
직접
체험하게 해야 한다. 이 부분에서 우리 나라의 인터넷 수준은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다.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해 활용하는 것은 이제 생존을 위한 가장 중요한 능력 가운데 하나가 됐다. 바로 이런 측면에서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심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혈관)에 각각 구멍을 뚫고 몸밖에 있는 혈액 펌프에 연결한다. 이 펌프는 심실의 피를
직접
대동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혈액의 박출 작업을 도와준다. 왼쪽 심실에 사용하는 것을 좌심실 보조장치, 오른쪽 경우를 우심실 보조장치라고 한다.한편 보조장치와 달리 완전이식형 인공심장은 자연심장의 ... ...
Ⅲ. 인공장기의 대안 미사일약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포도당이 몸 밖으로 소실된다. 당뇨병 치료 초기에는 유전공학으로 개발된 인슐린을
직접
주사하거나 적당량의 인슐린을 혈중에 내보내는 바이오센서를 피부 아래에 장착하는 기술이 이용됐다. 그러나 시시때때로 변하는 혈중 포도당 농도를 제대로 감지해서 인슐린을 투여하기엔 무리였다. 그래서 ... ...
이전
718
719
720
721
722
723
724
725
7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