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214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왕성 대체할 태양계 아홉 번째 행성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4
섕크먼 교수도 “카이퍼 벨트 소천체들의 움직임에서 행성 9를 가정해야 하는 부분을
발견
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셰퍼드 연구원은 “OSSOS로 관측한 소천체 4개 중 3개도 행성 9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행성 9의 존재 여부를 뒤집을 정도로 치명적인 연구 결과는 ... ...
‘황금박쥐’가 멸종위기종이 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7.13
털을 만드는 유전자를
발견
할 수 있었다. 독성 물질인 비소(As)에 저항하는 유전자도
발견
했다. 그동안 붉은박쥐가 중금속에 오염된 동굴에서 어떻게 살아갈 수 있는지 알려지지 않았는데 그 실마리를 찾은 셈이다. 무엇보다 현재 멸종 위기에 놓인 이유를 게놈에서 찾을 수 있었다. 게놈에는 그동안 ... ...
드라마 속 '충격으로 인한 기억상실증' 왜 생기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7.11
가해 외상성 치매에 걸리게 한 쥐에서 정상 쥐보다 JNK가 많이 활성화된다는 것을
발견
했다. JNK가 활성하지 않도록 억제하자 외상성 치매 증상이 억제되는 것도 관찰했다. 김 교수는 “외상성 치매의 원인이 알츠하이머성 치매로 악화될 때도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며 “치매를 예방하고 이를 ... ...
HUS가 햄버거병이 아닌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7.07.11
햄버거가 아니라 유기농 채소로 지목됐다. 소시지로 인해 발병한 노르웨이 사례, 원인을
발견
하지 못하고 과일이나 채소, 육류 또는 유제품으로 추정하는 루마니아 사례도 눈에 들어온다. 당연한 것이 대장균의 감염 경로는 사람이 먹는 모든 음식일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역시 HUS의 ... ...
해마의 고민 “엄마라고 해야해? 아빠라고 불러야해?”
2017.07.09
시키는 것이다. 검색을 해보면 과학자들이 수컷 해마로부터 임신 관련된 유전자를
발견
했다는 기사를 찾을 수 있다. 제임스정 제공 인간 세상에서는 이해하기 힘든 일이지만 해마들의 생활에서는 늘 익숙한 그들만의 삶의 방식이다. 왜 이들이 이렇게 진화를 했고, 또 그런 방식을 유지하는지 ... ...
[때와 곳 13] 산책 공원: 다양한 이유가 있는 곳
2017.07.08
동행해보면서, 우리가 살아가는 시공간의 구체적인 현지와 생생한 감수성을 잠시나마
발견
하시길 바랍니다. ※ 필자 소개 윤병무. 시인. 시집으로 ‘5분의 추억’과 ‘고단’이 있으며, 동아사이언스 [생활의 시선]을 연재했다 ... ...
[영상] 돌연변이는 특별하지 않다?
과학동아
l
2017.07.08
수많은 돌연변이가 발생합니다. 대부분은 우리 몸에 있는 DNA 수리 기전이 돌연변이를
발견
해 고쳐줍니다. 그러나 특정한 상황에서는 수리 기전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합니다.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쌓이면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암입니다. 세포 분열 과정에서 이상이 생겨, ... ...
‘강한 상호작용’ 설명할 중입자
발견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07
“기존 중입자를 이루는 쿼크는 다른 쿼크와 반응하며 정교하게 움직였다”며 “새로
발견
된 중입자를 구성하는 쿼크는 마치 두 개의 별을 가진 항성계처럼 움직인다. 맵시 쿼크 두 개는 쌍성계의 항성, 위 쿼크는 그 주변을 공전하는 행성과 같다”고 설명했다. 과학자들은 이 무거운 중입자가 ... ...
빅데이터로 범죄 패턴 분석, 경찰 인력 부족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17.07.07
헤매는 치매 노인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알려줬다. 경찰관은 정말 길을 잃은 노인을
발견
했다. 명함 크기의 카드에 노인의 손가락을 올려 지문을 채취하고 스마트폰으로 촬영했다. 5분 뒤 신원을 확인한 경찰은 노인을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경찰도 변한다. ... ...
우울증 일으키는 핵심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07
2006년 뇌 속의 ‘측위 신경핵(이하 NAC)’에 있는 뉴런에서 발현되는 한 유전자를
발견
해 Slc6a15라 명명한 바 있다. NAC는 흥분을 전달하는 도파민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에 반응해 보상심리를 느끼게 해준다. 즉 맛있는 음식을 먹거나 성적 자극을 받을 때 오는 쾌감을 인지하는 곳이다. 로보 박사는 “ ... ...
이전
719
720
721
722
723
724
725
726
7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