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흐른다면, 직접 만지지 않고 어떻게 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을까. 도선에 흐르는 전류는
눈
으로 볼 수도 없다. 그렇다면 뭔가를 이용해야 하지 않을까.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과학적 사실을 알아야 한다.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는 자기장이 생긴다는 사실을 말이다. 직선전류에 의한 ... ...
북극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다시 돌아오게 되므로 문제(2)의 정답은 B다. 물론 아주 작은 고도의 차이가 생기지만
눈
으로는 구분이 어렵다.북극에서 해는 춘분 때(3월 21일경) 지평선 상에 있다가 고도가 매일 조금씩 높아져 하지 때(6월 21일경)는 23.5°에 이른다. 하지 이후로는 고도가 매일 조금씩 낮아져 추분(9월 23일경)이 되면 ... ...
바이러스 걸러주는 필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주입해 연소가 잘 되게 도와준다.고운 모래와 자갈을 분리하는 원리공기보다 크긴 해도
눈
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아주 작은 입자를 어떻게 걸러낼 수 있는 것일까. 공사장에서 고운 모래와 자갈을 분리하는 체를 생각하면 공기가 깨끗해지는 과정을 이해하기 쉽다. 고운 모래는 체의 균일한 구멍을 ... ...
'아이다호'에 나타난 슬픈 질병, 기면 발작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얼굴을 자세히 관찰해보면, 그의
눈
동자가 열심히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는
눈
을 감고 있는 상태에서도 REM 수면을 열심히 연기했던 것이다.과학자들은 기면 발작 환자가 곧바로 REM 수면에 빠지기 때문에 마치 우리들의 REM 수면 상태처럼 ‘꿈’을 꾸듯 환상을 본다거나 근육이 완전히 ... ...
한국인 위장의 불청객 헬리코박터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변화를 조직학 검사로 관찰했다. 그러나 모든 환자에게서 헬리코박터균의 수가
눈
에 띄게 줄어들지는 않았다. 김교수는 “환자들이 스스로 증상이 좋아졌다고 말한다”면서, “면역달걀의 양을 조금씩 늘리고 있다”고 밝혔다.작년 12월 영국의 BBC방송은 헬리코박터균이 설사병 방지에 도움이 될 수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쪽으로 전공을 정하게 된 그의 꿈이 하나의 결실을 맺는 것이다.요즘 탄소나노튜브로
눈
코 뜰 새 없지만 기회가 닿으면 그는 하고 싶은 것이 있다.“생물학에 흥미로운 것이 많잖아요. 물질의 구조를 밝혀낸 물리학의 아이디어나 계산 방법을 생물학 쪽에 적용하고 싶어요. 생물학은 현상적으로 많은 ... ...
간단하게
눈
결정 만드는 법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변한다. 여기서는 실과 병의 안쪽 벽을 말한다. 이때 실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형태는
눈
결정의 한 갈래가‘나뭇잎 모양’을 띠는 것이다. 이것은 주로 -15℃ 정도에서 성장한다. 그리고 드물게 -5℃ 쯤에서 형성되는‘생선뼈 모양'의 결정도 볼 수 있다 ... ...
서양의 오리온은 발목 삔 아가씨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없다. 별지도를 보고서 머리 속에 익히고, 하늘에서 별과 별자리를 찾아가면서 자꾸
눈
에 익히는 수밖에 없다.왜 좀생이일까? 별들이 좀스럽게 모여있다고 해서 좀생이 또는 좀생이별이라고 한다. 좀생이는 28수 별자리 가운데 하나로 중국식 이름은 묘수인데, 백호가 거느리고 다니는 새끼 호랑이 ... ...
3. 국내 감성공학 연구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밝혔다. 앞으로는 개인화된 편리성이 가전제품의 초점이 될 수 있다는 의미다.사람
눈
에 따라 움직이는 카메라은행과 주차장에 설치된 감시카메라는 정해진 한쪽만을 보여준다. 그래서 영화 속에서는 이 감시카메라 방향을 피해서 도둑이 침입한다. 하지만 연세대 전기전자공학과 김재희 교수팀이 ... ...
왜 고온에서 초전도체를 얻으려고 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것으로 의심하지 않았던 것이다.그러나 92K에서의 초전도 현상은 과학자들이 더이상
눈
가리고 아옹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었다. 이제 그들은 새롭게 초전도 현상을 바라봐야만 했다. 동시에 과학자들은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성을 띠는 물질을 발견하는 꿈을 다시 꾸기 시작했다.더군다나 ... ...
이전
720
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