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620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주어진 상황을 어떻게 해석해야할까
2022.05.14
이겨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들이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 심리학과 앨리아 크럼
교수
와 동료들은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사람들에게 약간의 스트레스는 수행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내용의 영상을 보게 하거나 또는 스트레스는 악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의 영상을 보게 했다. 그러고 ... ...
[주말N수학]수학자이자, 작가, 반전운동가 버트런드 러셀
수학동아
l
2022.05.14
글을 기고했다는 이유로 6개 월간 투옥되었을 때 쓴 수리철학 책이다. 화이트 헤드
교수
와 함께 썼던 《수학의 원리 》를 보다 쉽게 풀어 쓴 책이다. 철학│철학의 문제들 철학이란 무엇인지를 풀어 쓴 철학서다. 지식에 대한 모든 것을 다루는 인식론의 여러 문제를 중심으로 내용이 전개된다. ... ...
[일문일답]우리은하 블랙홀 관측 "다음엔 한국 KVN도 참여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5.13
7 블랙홀과 궁수자리 A 블랙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김재영 경북대 천문대기과학과
교수
)공통점은 관측 영상이 비슷하다. 빛의 고리 가운데 빛이 없는 구멍이 동그랗게 있다. 천문학계에서 은하 중심에 어떤 천체가 있어야 할까 많은 논의가 있다. 중심부에 빛이 꼭 없어야 할 이유가 없지만 ... ...
M87 블랙홀에 이어 관측된 우리은하 블랙홀, 왜 똑같은 모양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5.13
블랙홀의 경계 크기가 두 관측결과에서 보인 관측치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
는 “블랙홀이 현대물리학에서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굉장히 중력이 극단적으로 강하기 때문에 여러 중력이론을 선명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장소기 때문”이라며 “웜홀 같은 다른 모형을 통해 블랙홀이 ... ...
북한 코로나 확산 18만명 격리·6명 숨져 '2년 3개월만 초비상'…전문가들 "백신 미접종국 큰 피해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3
9 백신을 시행하지 않아 피해가 클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존 무어 미 웨일 코넬 의대
교수
는 워싱턴포스트와 인터뷰에서 북한이 봉쇄를 통해 전염을 제한하지 못한다면 "인구의 상당 비율이 곧 감염될 것"이라며 "주민에 대한 정권의 장악력에 영향을 미치게 될 정도로 인명피해가 엄청날 수도 있다 ... ...
KAIST 조정훈 학술상에 신효상 크랜필드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5.13
사고로 숨진 고 조정훈 명예박사를 기리기 위해 제정됐다. 부친인 조동길 공주대 명예
교수
가 유족보상금과 사재를 합쳐 KAIST에 학술기금으로 기부한 4억 7800만 원을 재원으로 만들어졌다. 2005년부터 매년 항공우주공학 분야 뛰어난 연구업적을 이룬 젊은 과학자를 발굴해 시상하고 있다. KAIST는 이 ... ...
코로나19 바이러스, 지폐보다 신용카드에 더 오래 남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3
결제만 허용한 것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리처드 로비슨 미국 브리검영대 생명과학대
교수
는 “코로나19를 매우 두려워하는 사람들이 데이터 없이 결정을 내리고 또 우리는 데이터 없이 그것을 맹목적으로 따르고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현금결제 중단이) 매우 잘못된 결정이었다는 것을 ... ...
과기정통부 1차관에 오태석 과기혁신조정관·과기혁신본부장에 주영창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5.13
밝히기도 했다. 안 전 위원장이 추천해 인수위에서 활동한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와 같은 소속이기도 하다. 정보통신 분야를 담당하는 과기정통부 2차관 인선은 두 번째 차관급 인선에서도 발표되지 않았다 그 배경을 놓고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장급인 송상훈 과기정통부 ... ...
삼성전자-성균관대, 이온빔 쏴서 차세대반도체 하프늄옥사이드 메모리 성능 3배 끌어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3
산소 결함 밀도와 연계된 결정구조 변화가 강유전성을 높인다는 것도 확인됐다. 김
교수
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강유전성을 활용한 고효율 반도체 소자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현재 방법론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제 반도체 산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최적 조건 탐색 등 ... ...
우리 은하 블랙홀 모습 최초 포착…일반상대성이론 더 정확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2
막스플랑크 외계물리학 연구소장과 앤드리아 게즈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
교수
가 주변을 도는 별의 궤도를 토대로 궁수자리 A의 질량을 예측해 2020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기도 했다. 궁수자리 A는 지구와의 거리가 M87의 2000분의 1 수준으로 가깝지만 질량이 1600분의 1에 불과해 관측이 더 ... ...
이전
720
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