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
실개천
속
나
d라이브러리
"
내
"(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만들어놓고 이 안에 바르는 형광물질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빨강, 초록, 파랑색의 빛을
내
는 미니 형광램프들을 만들 수 있고 역시 이들을 전체화면 크기에 필요한 만큼 조합하면 총천연색 대형 전광판이 가능하다. 현재 동아일보사 사옥에 걸려 있는 전광판은이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잠실 올림픽 ... ...
골프공이 포물선을 만났을 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선조들은 기와의 모양을 사이클로이드로 만들면 빗물이 지붕에서 바닥으로 빨리 흘러
내
릴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 높이 나는 매도 땅에 있는 먹이감을 보고 먹이감이 있는 곳까지 사이클로이드 곡선을 따라 낙하한다. 우리 선조나 매는 사이클로이드를 수식이 아닌 삶 속에서 발견한 것이다 ... ...
스파이더맨 vs 배트맨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상상력은 악당 캐릭터에서 빛을 볼 수 있는 것이다.스파이더맨의 그린 고블린은 인간의
내
면에 감춰진 폭력성 그 자체다. 우리는 사회 생활을 하면서 소위‘열 받는’일들을 겪지만 그것을 가슴 속에 꾹꾹 눌러둔 채 살아간다.노만 박사 역시 마찬가지다. 군부 실력자에 의해 수년간 이끌어왔던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하면 로봇은 보상을 많이 받는 쪽으로 자신의 행동규칙을 갱신해 나간다. 또한 시스템
내
에서 자신보다 학습이 잘된 로봇을 만났을 경우, 통신을 통해 서로의 정보를 교환해 보상을 많이 받는 쪽으로 진화한다.최근에는 생물체의 면역 시스템을 모방해 로봇의 자율행동을 구현하려는 인공면역계 ... ...
PART1 벤처 블루칩으로 등극한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나노소재의 환경친화성을 강조했다. 나노소재가 적은 양으로도 기존 물질의 특성을 나타
내
기 때문에 원재료가 적게 들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나노소재로 자동차를 만들면, 자동차 무게가 줄어 연비가 높아지고 결국 에너지가 절약되고 공해가 줄어든다.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것이다. 달처럼 차고 기우는 모습금성과 같은
내
행성에는 또다른 특징이 있다. 지구와
내
행성, 그리고 태양과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보이는 모습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이같은 현상은 위상변화라 불린다. 실제로 금성의 모습은 밤하늘의 여왕 달처럼 모습이 계속 변한다.게다가 더욱 놀라운 점은 ... ...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있으므로 값이 싸다고 일본
내
수용 제품을 덥석 사는 어리석음을 범해서는 안된다. 일본
내
수용 제품 대부분은 메뉴가 일본어로만 나오는 것도 불편한 점이다.삼성의 경우 토종 제품이라는 인지도와 충실한 AS 등이 장점. 소니의 경우 소니 노트북 등과 연결성이 뛰어나고 디자인이 뛰어나다는 평을 ... ...
1. 스스로 진화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셀 수 없을 정도로 많고 복잡해 슈퍼컴퓨터나 그리드컴퓨팅으로도 그 변천과정을 알아
내
기가 쉽지 않다. 진화 알고리즘을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에 응용하면 실제 작동에 필요없는 군더더기 부분은 없어지고 핵심 기능만 골라낼 수 있다. 작동 방식과 계산 과정이 복잡한 거대 프로그램을 ... ...
세계 종자시장에서 우위 차지하기 위한 출발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한다. 그런데 IMF 외환위기 때 국
내
의 유수 종자 기업이 다국적 기업으로 넘어가면서, 국
내
에는 현재 큰 규모의 종자회사가 없는 상황이다. 최단장은 세계 종자시장에서 승리하려면 앞으로 정부가 종자기업을 육성해야 한다면서 말을 마무리지었다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따분해하고, 생물학 기반 학생은 새로운
내
용이 없다고 생각한다. 반대의 상황인 물리
내
용일 때도 마찬가지다. 사실 생물물리를 가르치기에 적절한 교재도 없는 상황이다.이처럼 생물물리가 해결해야 할 문제는 많다. 현재 이 분야는 완전한 틀을 갖춘 상태가 아니다. 워낙에 서로 다른 두 분야가 ... ...
이전
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8
7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