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뉴스
"
일
"(으)로 총 51,255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호화폐 기반 이론 만든 이스라엘 수학자 '튜링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수학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며 자랐다. 수학을 좋아했지만
일
자리를 빨리 가지길 원했던 부모님의 조언으로 학부 때 '컴퓨터과학'을 전공으로 택해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멘토를 자처하며 많은 젊은 연구자들에게 조언을 제공함으로써 이론 컴퓨터과학 분야로 끌어들인 ... ...
쓴맛 느끼는 원리 찾았다…약물 부작용 줄
일
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약물이 미각의 수용체를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 부작용을
일
으키지 않는 최적의 약물 경로를 만들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TAS2R14 단백질이 입이 아닌 외부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 살필 계획이다 ... ...
1000년 걸릴 유아 장내미생물 연구, AI·디지털 트윈으로 '확'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이는 테스트 시간을 크게 줄
일
뿐 아니라 데이터가 쌓
일
수록 예측의 정확도를 높
일
수 있다. 연구팀이 신생아 중환자실의 미숙아들에서 수집한 대변 샘플 데이터를 Q-넷에 적용하자 인지적 결함 위험이 높은 아기를 76%의 정확도로 예측하는 결과를 보였다. Q-넷을 이용하면 특정한 미생물 ... ...
흘러가는 생각 속 긍정·부정 감정 읽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감정의 개인차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우울감이나 불안감을
일
으키는 생각과 감정의 패턴을 파악해 추후 사람의 정신 건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젊어진 ‘미세아교세포’로 치매 치료 가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주요 매개체인 미세아교세포를 대상으로 역노화와 같은 기능 조절을 통해 인지력을 높
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김동운 교수는 “뇌 내 미세아교세포로 약물 또는 유전체 전달 조절 기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이를 확장해 ... ...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 임명 77
일
만에 사의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과학기술수석이 3
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교보빌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위원회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박상욱 과학기술수석이 임명된 지 77
일
만에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다. 수석비서관급 이상 참모들이 11
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약탈적 학술지 퇴출시키려면
2024.04.11
과학자의 윤리를 좀먹고 성장하는 약탈적 학술지의 퇴출을 위해 객관적인 공정성의
일
부를 포기해야 할 수도 있는 형편이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 ...
하이브리드 소듐 전지 개발…"수 초 만에 급속 충전"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극대화한 고에너지·고출력 하이브리드 소듐이온 전지를 개발해 연구 결과를 지난달 29
일
국제학술지 '에너지 스토리지 머터리얼스'에 발표했다고 11
일
밝혔다. 소듐(Na)은 기존 전지에 널리 쓰이는 리튬(Li) 대비 지구상에 500배 이상 많아 전지의 재료로 최근 주목받았다. 리튬이온 전지에 비해 출력이 ... ...
난청 치료 길 열어…베
일
싸인 '귓속 단백질'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교수와 함께 청각 관련 특정 수용체 단백질 구조와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성공했다고 11
일
밝혔다. 귀 안쪽에는 소리를 감지하는 달팽이관과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이 있다. 이 기관들의 세포들은 수용체 단백질인 ‘GPR156’을 갖고 있다. GPR156이 활성화되면 세포 내 G단백질과 결합해 ... ...
신의 입자 '힉스' 예견한 영국 물리학자 피터 힉스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입자의 존재가 확인된 당시 83세였던 힉스 교수는 CERN의 발표 후 "내 평생 이것(증명)이
일
어나기를 기대하지 못했다. 가끔은 옳다는 건 참 좋은
일
"이라며 눈물을 훔쳤다고 영국 BBC, 스카이뉴스는 전했다. 그는 2013년 힉스 입자 존재를 예측한 공로로 벨기에의 프랑수아 앙글레르 브뤼셀 자유대 ... ...
이전
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8
7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