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잎맥 만들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수 있다. 그러나 잎을 수산화나트륨수용액에 너무 오래 담그면 잎맥을 구성하는 조직
사이
의 결합도 약하게 돼 실험에 실패할 수도 있다.과산화수소는 산화력이 강해 표백제로 사용된다. 잎살이 제거된 잎맥을 과산화수소수에 담가 두면 과산화수소의 강한 산화력에 의해 잎맥에 남아 있던 엽록소와 ... ...
배꼽은 사람 몸을 황금분할한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sqrt{5}+1}{2}$ 이다. 피보나치 수열을 자연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기 때문에, 자연과 황금비
사이
에도 어떤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황금비는 여러 가지 다양한 상황에서 나타난다. 그렇다면 우리의 몸에서도 황금비를 찾을 수 있을까.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인체의 비례를 광범위하게 연구했고, ... ...
곤충진기명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결국 이득이다. 즉 수컷끼리 구역 표시를 하는 것이다.매미가 내는 울음소리는 가슴과 배
사이
에 뚜껑처럼 생긴 고실(鼓室)에서 나온다. 이 안에는 얇은 막이 있어 근육을 수축하면 막이 당겨졌다 다시 늘어나는데, 이 동작이 빨리 일어나면서 마치 드럼처럼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낸다.빨리 낳고 ... ...
스노우의 두 문화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잘 어우러진 개방적이고 통합적인 교육이 하루빨리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물리학박
사이
자 소설가였던 스노우스노우의 경력은 독특하고도 다채롭다. 레스터 대학(Leicester University)을 거쳐 캠브리지에서 25세에 물리학 박사가 됐으며, 그곳의 크라이스트 칼리지(Christ’s College)의 특별연구원(fellow ... ...
컴퓨터 속의 통역사 자동번역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있다. 논리에 어긋나면 엉뚱한 번역하지만 여기에도 약점은 있다. 번역기가 단어들
사이
의 논리적인 관계를 설정해 프로그램 된 것이기 때문에 특히 문법적으로 완전하지 않은 문장이나 문학적이고 비유적인 표현이 많은 경우 전혀 엉뚱한 번역이 나오기도 한다. 예를 들면 ‘How curious!’는 ... ...
간의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40(적위)도 떨어져 있을 때, 입수도분은 ‘우3도’ 거극도는 ‘40도’라고 나타낸다.하루
사이
에도 별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것처럼 적도환도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회전한다. 그러므로 적도환을 회전시켜 하늘의 기준별과 일치시킨 다음 사유환과 규형을 움직여 관측하고자 하는 ... ...
① 시각 : 도로 상태 보며 핸들 조절하는 무인자동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원래의 색을 제대로 복원해낸다.몸짓도 채점하는 DDR눈의 망막에서부터 대뇌의 시각피질
사이
에 이르는 초기 시각처리 과정은 어느 정도 원리가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이를 활용해 실제 생물학적 구조와 유사한 집적회로를 만들 수 있다. 이 집적회로를 인공망막칩이라 부른다.지금까지 세계의 많은 ... ...
산불 그 후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거의 소식이 없어지고 있다.왜 그럴까.동해안지역 시군의 삼림과 직원이나 산림감시원들
사이
에서는 '아카시아 꽃이 피면 발뻗고 잔다'말이 있다.5월이 되면 습도가 급격히 높아지면서 초목의 잎들이 피어나고 산불발생 위험도가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이다.우리나라의 산림관계자에게는 아카시아 ... ...
혜성을 어떻게 찾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작은 쌍안경으로 보일 정도로 밝아질 것이다. 특히 가장 밝아지는 7월 15일부터 20일
사이
에는 초저녁 북서쪽 지평선 위나 새벽 북동쪽 하늘에서 망원경 없이도 볼 수 있을지 모른다. 혜성은 그 후 저녁 하늘에서 빠르게 서쪽으로 이동해 가면서 고도가 낮아져 8월 중순 이후 서서히 사라진다 ... ...
아프리카를 떠난 최초 인류의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호모 에르가스터나 호모 에렉투스도 마찬가지로 아프리카에서 이주한 종이지만 그
사이
에 멸종해 오늘날로 이어지지 못했다” 라고 말했다. 이 설명은 1856년 발굴된 네안데르탈인 화석과 2천명의 현생 인류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비교한 결과 서로 다른 종으로 볼 수밖에 없다는 1997년의 연구와도 ... ...
이전
722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