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양
해양
망망대해
바다
원
원양
넓은 바다
d라이브러리
"
대해
"(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동차를 순식간에 쇳덩어리로 녹여버리는 1백만W 전구는 어디에 쓰일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8ha(1ha=1만㎡)의 면적을 1개의 전구로 밝힐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첫제품의 실패에
대해
알바크는 말한다. 현재 이 회사의 제품은 20ha를 조명할 수 있는 단계에까지 와있다.그러나 초대형전구의 용도는 광원이 아니라 열원쪽으로 기울어지고 있다. 30만W의 전구(길이 11㎝)로부터 10㎝ 떨어져 있는 ... ...
한국과학재단 강홍렬 이사장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런 분들을 위해 과학재단에서는 꽤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연간 1천5백~2천 연구과제에
대해
개인단위로 일반 기초연구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한사람당 5백만~8백만원의 연구비가 지원되는데 이 돈에는 아무런 조건이 없습니다. 다행히 국내외학술지에 논문이 실리게 되면 고맙고, 아무 성과가 ... ...
찌르레기 둥우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오랫동안 알을 까기위해 둥우리를 짓는 새들이 왜 싱싱한 푸른잎들만을 쓰는지에
대해
논쟁이 있어왔다. 몇몇 학자들은 이 푸른 잎들이 둥우리를 천적으로부터 숨기는 위장용이며 습기를 높여주는 역할도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보다는 흡혈충 방제(防除)용이라는 설명이 더 적절해보인다 ... ...
일찌감치 포기하려는 후배에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수학을 어렵다고 생각하고 싫어하는 이유는 진짜로 수학이 어렵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에
대해
자신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학력고사에서 다른 과목은 한 문제에 1점씩인데 수학은 2점이고, 평소에도 수학은 20문제나 25문제밖에 안 나오니까 하나만 틀려도 다른 과목에서 두 문제나 더 점수를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드물게 주어지는 멋진 기회였다.윌슨교수 연구실에서 나는 과학연구란 무엇인가에
대해
처음으로 배우기 시작했다. 연구시작후 나는 먼저 현대과학은 너무나도 세분화돼 있어서, 예를 들어, 분자생물학이라는 과목 하나 내에도 수없이 많은 연구분야와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산적해있다는 것을 ... ...
2. PC에서 미디를 구현하려면 책상위의 작은 오케스트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둘 수 있게 되는 것이다.그럼 IBM PC에서 미디를 이용하여 음악기능을 확장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해 본다.PC에서 미디를 이용하여 음악을 연주하는 시스템 전체를 일컬어 DTMS(Desk Top Music System) 라고 한다. 이것은 책상(desk) 위(top)에서 컴퓨터를 중심으로 음악(music)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스템(sys ...
주변기기 활용법-마우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중 하나다. PC와 쉽게 친해질 수 있도록 다리를 놓아 주는 깜찍한 새앙쥐, 마우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1983년 마우스시스템사가 처음으로 CP 마우스라는 기발한 제품을 선보였다. 한 속에 쏙 들어오는 조그만 외형에 길다란 꼬리까지 달린 것을 착안해 마우스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마우스는 ... ...
1. 컴퓨터음악의 역사-전위음악에서 대중화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만든곡들은 회원들끼리 서로 돌려 들어보고 비평을 한다. 회원들의 컴퓨터 음악수준에
대해
“용산전자상가의 악기가게에서 우리가 만든 작품을 틀어놓고 손님들에게 무단복사를 해줄 정도”라고 방재혁회장은 은근히 자랑한다. 어쿠스틱크룹은 통기타와 노래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모여있는데, ... ...
장미꽃잎이 검게 물든 사연 식물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능력을 회복시킨다는 생각을 했을 뿐이다.경화하는 동안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대해
오랫동안 많은 학자들이 여러 방면에서 연구를 하여 다양한 학설을 발표하고 있다 ... ...
금년도 대학입시를 치르고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있었다. 한 친구는 늘 수학성적이 만점 가까이 나오는 학생이었는데, 공부하는 방법에
대해
물어보니, 어려운 문제 하나를 놓고 몇시간씩 씨름하는 것이라고 자신있게 대답했다. 어떤 문제건 해답에 의존하는 일이 거의 없다는 얘기였다.●-답을 먼저 보면 이미 실패반면 수학성적때문에 고민하는 ... ...
이전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