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실과 똑같은 가상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미국 린든랩에서 개발한 가상현실 서비스. 한달에 700개
이상
의 토지가 생겨나고, 100만 명
이상
의 사용자가 가입한다. 린든 달러가 실제 달러로 환전되며 이와 관련한 다양한 비즈니스가 발생하고 있다. IBM과 같은 글로벌 기업이 대거 입주해 있다. 가까운 시일 내에 음성 채팅 서비스가 제공될 ... ...
결핵 안전지대는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치료 효과도 낮으며 부작용도 크다. 3차 약은 없기 때문에 2차 약으로 치료가 안 되면 더
이상
방법이 없다.6. 두 번째 결핵에 걸린 사람은 내성균 때문에 위험하다? 아니다. 성실하게 결핵약을 먹어 완치된 사람은 2차 감염이라고 해서 내성균의 위험이 더 크지는 않다. 똑같이 결핵약으로 치료가 ... ...
1등 조명LED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2010년까지 LED조명에 대한 15종의 국가표준(KS)을 제정하고, 2015년까지 국내 조명의 30%
이상
을 LED조명으로 대체하는 ‘LED 조명 보급 프로젝트’를 추진해 연간 1조4000억원의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예정이다.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감성조명시대를 열며 급부상하는 LED조명. LED조명이 1등 조명으로 ... ...
유전자 상호작용으로 아토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것을 기대할 수는 없다. 생명과학 연구의 흐름에 비쳐볼 때 상용화까지는 적어도 10년
이상
이 걸린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그럼에도 김 교수는 “현재 진행하고 있는 게놈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질병 치료의 새로운 길을 열 것이라는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알지 ... ...
세계 청소년 기후대사 돼 북극가자!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카드뮴, 납에 오염돼 있어 황사가 심한 날엔 아예 집밖을 나서지 않는 게 상책이다.
이상
기후로 고통받는 청소년은 이들 뿐이 아니다. 유래 없는 열대병으로 아버지를 잃은 이탈리아의 11살 소년 마티유나 거대한 산불에 집을 빼앗긴 호주의 14살 소녀 파우사도 웃음을 잃은지 오래다. 하지만 아무도 ... ...
폴짝, 공포 뛰어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폴짝, 공포를 뛰어넘어 보자구!1 서서히 친해지자무서운 대상과 천천히 친해지면 더
이상
무섭지 않답니다. 개가 무서운 친구라면 처음엔 개 사진을 보면서 개에 천천히 적응하는 거예요. 그 다음엔 개 모형을 만져 보고 아무렇지도 않아 지면 다음엔 진짜 개를 만나 보는 거지요. 개를 보는 것도 ... ...
정자 DNA손상시키는 당뇨병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수치다. 또 당뇨병 환자 중 많은 수가 불임 문제로 고민하고 있으며 원인 중 절반은 정자
이상
때문이다. 그동안 의사들은 당뇨병이 정자의 질을 떨어뜨린다고 의심해왔다 ... ...
뉴질랜드에서 잡힌 대형 오징어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그 수가 4이고, 공유원자가는 4가(價)라 한다용액에서 동시에 석출(析出)되는 2종
이상
의 결정혼합물 공정(共晶) 또는 공융정(共融晶)이라고도 한다 어떤 종류의 혼합액체를 냉각시키면 일정한 응고점을 보이면서 일정한 성분비의 고체가 석출된다항공기 등에서 지상을 촬영한 공중사진을 이용하는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꼬마펭귄의 행진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해변을 플라스틱으로 오염시키면서 죽거나 다치고 있다. 특히 지난 10여년간 6건
이상
발생한 해상 기름 유출사고의 피해는 심각하다. 2003년 필립섬 앞바다에서 선박의 기름이 유출돼 해안 12km가 오염되면서 꼬마펭귄 24마리가 기름을 뒤집어썼고 3마리가 죽었다. 또 2001년에는 360마리가 기름 범벅이 ... ...
PART2 암 잡는 나노메디신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암세포 하나가 짧은 시간 안에 암세포덩어리를 만들고 온몸에 전이되는 이유도 이런
이상
세포 분열 때문이다. 따라서 암세포 증식에 필요한 단백질 발현만 억제해도 암 치료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단백질 발현 막는 siRNA 최근 siRNA가 이런 연구에 많이 사용된다. siRNA(small interfering RNA)란 20개 가량의 ... ...
이전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