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뉴스
"
성공
"(으)로 총 10,456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매 치료제, 침체 딛고 일어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1.19
치료제는 이런 침묵을 깨기 위해 다른 어떤 분야보다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크든 작든
성공
사례가 나와야 치매 정복이라는 긴 여정을 지속할 수 있을 것이다 ... ...
[배터리 이야기①] 리튬이 만든 세상을 보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1.18
겪었다. 리튬 이온배터리는 뉴욕 주립 빙엄턴대 연구진이 1970년대에 처음 실험에
성공
했다. 당시엔 이황화티탄을 양극으로, 금속 리튬을 음극으로 사용해 배터리를 제조했다. 본격적인 실용화 연구는 프랑스에서 1980년대에 진행됐다. 그르노불 공대와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가 공동으로 ... ...
호주의 미녀 트레이너 ‘인기’
팝뉴스
l
2018.01.17
있다. 운동을 통해 그녀는 에너지가 넘치며 건강한 삶을 살고 있다고 한다. 그녀의 꿈은
성공
한 트레이너. 빼어난 외모 덕분에 벌써부터 주목받고 있다. 누구나 이와나 닥터처럼 될 수는 없지만 누구나 도전은 가능하지 않을까.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 ...
카카오페이지의 변신... 이제 영화까지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7
카카오페이지에서 웹툰뿐 아니라 영화까지 볼 수 있게 됐다. 10분 간 미리 보고 구매를 결정할 수 있다. 카카오페이지는 기존 웹툰 및 웹소설에서 영화 VOD로 ... 진화했다. 10분 플레이와 P&P 등 카카오페이지의 운영 노하우가 담긴 새로운 시도로
성공
스토리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 ...
담요만 덮어도 도울 수 있어요! 야생동물 크라우드 펀딩 화제
동아사이언스
l
2018.01.17
절 믿고 함께 해달라고 설득했어요. 다행히 절 믿어주셨고요.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
하면 또 다른 새로운 시도를 해볼 용기를 얻게 될 거예요. 다른 작가들과 더 재미있는 아이템이 나올 수도 있을 테고요.” 작가는 디자이너들이 생각보다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일러스트만 그리는 ... ...
풀HD를 울트라HD로…실시간으로 영상화질 4배 높여 주는 인공지능 기기
동아사이언스
l
2018.01.17
연구진은 인공신경망의 연산 효율을 높이고 이를 작은 크기의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데도
성공
했다. 김 교수는 “고용량의 컴퓨팅 장비 없이도 인공지능을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용화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시스템의 사용 저장용량은 10KB, 소비전력은 12W 정도다. 이날 김 교수팀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Aldh2 유전자 하나만 변이형인 어미(+/-)를 교배해 두 유전자가 다 고장 난 새끼를 얻는데
성공
했다(태반을 통해 어미의 Aldh2 효소를 공급받아 알데히드 해독). 이렇게 간신히 태어나더라도 워낙 취약해 급성백혈병 같은 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높았다. 7년이 지나 발표한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알데히드가 ... ...
생체 조직 3차원으로 빠르게 관찰하는 현미경 국내 기술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1.15
시료에 발사한 뒤 영상으로 바꾸도록 해 빠르면서도 초점이 잘 맞는 3차원 영상 재현에
성공
했다. 권 교수는 “생명현상 연구에 널리 쓰이는 광시트 현미경을 보다 다양한 생체 조직에 응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광학 분야 국제 학술지 ‘저널오브바이오포토닉스’ 2017년 12월 2 ... ...
퀀텀닷 디스플레이 더 싸게, 더 밝게
동아사이언스
l
2018.01.15
적색, 녹색 퀀텀닷 LED의 발광 휘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실제로 구현하는데도
성공
했다고 15일 밝혔다. 퀀텀닷 LED는 스스로 빛을 내는 나노 크기 반도체다. OLED의 뒤를 잇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꼽힌다. 다만 퀀텀닷 LED만으로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기에는 가격이 지나치게 높다. 조 ... ...
“인체 냉동보존 기술, 장기 이식에서부터 활용 가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01.15
나노입자를 이용해 돼지의 심장을 이루는 판막 조직을 최초로 손상 없이 해동시키는 데
성공
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에 발표한 바 있다. 혈관에 혈액을 빼내고 채워 넣는 냉동보존액에 나노입자를 섞어 얼린 뒤, 자기장을 걸어 주면 나노입자들의 움직임에 의해 조직 내부에 균일하게 ... ...
이전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