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뉴스
"
연구원
"(으)로 총 16,758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만 잡는 청경채’ 스마트팜에서 재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4.11
시험 결과가 긍정적이면 이후에는 기능성 음료 제작도 계획하고 있다. 유 선임
연구원
은 “이번에 개발한 청경채가 현대인의 고질병으로 불리는 대사성 질환의 위협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기능성 식품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농식품 분야 국제학술지 ‘푸드 ... ...
세계야생동물 보호에 앞장 선 환경운동 선구자 英 필립공, 99세로 눈 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1
존 브라운 경과 필립공의 만남을 보도하며, 필립공이 국립공학아카데미 회원이자 선임
연구원
을 지냈고 “신이 발명하지 않은 모든 것은 공학이 발명했다”고 전했다. 필립공은 인류의 생명을 구할 의학에 대한 관심도 많았다. 1898년 세계 최초로 열대의학 연구기관으로 설립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상한 감마선 폭발의 정체를 쫓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1
UC 버클리) 우주과학연구소
연구원
과 드미트리 스빈킨 러시아 이오페연구소
연구원
을 포함한 국제 공동 연구팀은 이 감마선 폭발이 발생한 위치를 추적한 연구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인터넷판 1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감마선 폭발을 감지한 3개의 탐지기의 위치, 신호 도달시간, 삼각측량법을 ... ...
고릴라가 가슴 치는 사연…"물러서, 난 허풍이 아냐"
연합뉴스
l
2021.04.09
녹음해 분석했다. 논문 공동 저자인 다이앤 포시 고릴라 기금의 에릭 은다이시미예
연구원
은 "짧게 지속하는 가슴 두드림을 녹음하려면 고릴라와 거리를 둔 상태에서 시기와 장소가 맞아야만 해 어려움이 있었다"고 했다. 연구팀이 녹음한 산고릴라의 가슴 두드림은 지속 시간이나 횟수 등에서 ... ...
화성 30억년 전 완전히 마르기 전 건기·습기 여러차례 반복
연합뉴스
l
2021.04.09
산하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등에 따르면 '천체물리학·행성학연구소'(IRAP)의 CNRS
연구원
윌리암 라팽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 로버 '큐리오시티'(Curiosity)가 수집한 지층 분석 자료로 확인한 결과를 미국지질학협회 저널 '지질학'(Geology)에 발표했다. ... ...
구리를 360가지 색으로 알록달록하게 만드는 법
과학동아
l
2021.04.09
푸른색을 띠는 이유다. 그렇다면 구리의 색을 더욱 다양하게 만들 수는 없을까. 기초과학
연구원
(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과 부산대 등 공동연구팀은 산화층에서 그 답을 찾았다. 연구팀은 구리를 원자 단위로 쌓을 수 있는 장치인 ‘원자 스퍼터링 에피택시’를 개발했다. 그리고 0.2nm(나노미터·1nm는 ... ...
표현하기 힘든 환자의 고통 AI로 찾는다
과학동아
l
2021.04.09
확률을 구했다. 연구에 참여한 대니얼 에이브럼스 미국 노스웨스턴대 응용수학부
연구원
은 “환자들이 평가한 통증 수준과 AI로 통증을 예측한 결과를 비교해 환자들이 자신의 통증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도 알 수 있었다”며 “다양한 생리 지표를 수집하고 학습시키면 낫적혈구빈혈 외에 만성 ... ...
미생물에서 립스틱과 딸기우유 붉은색소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9
미생물을 이용해 생산된 카르민산. 양동수 KAIST 박사후
연구원
제공 립스틱의 붉은색은 ‘카르민산’이라는 천연색소를 사용해 만들어낸다. 립스틱 뿐 아니라 딸기우유와 사 ... ‘미국화학회지’에 지난 2일 온라인으로 발표됐다. 이상엽 특훈교수와 양동수 박사후
연구원
. KAIST 제공 ... ...
현생 인류 조상과 네안데르탈인 이종교배 흔하게 일어나
연합뉴스
l
2021.04.09
이들은 모두 5~7세대 전에 네안데르탈인 조상을 가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딘야크
연구원
은 "이는 유럽 1세대 조상과 네안데르탈인의 이종 교배가 일반적이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지금까지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의 이종교배 증거는 루마니아에서 발굴된 약 4만년 전 ... ...
달에 인터넷 구축 추진하는 미국, 한국 달 궤도선 우주인터넷 기술에 '눈독'
동아사이언스
l
2021.04.09
궤도선 임무를 통해 우주에서 DTN 기술 가능성을 처음 검증한다. 이미 ETRI와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 한양대에 각각 노드를 설치했다. 올해 NASA와 진행하는 시험에서는 달 궤도선에 실린 우주인터넷 장비가 국내와 미국의 지상국에서 전송한 신호를 받아 DTN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NASA ... ...
이전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