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불볕 더위와 장마를 배후조종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동남쪽으로 흐르고 있다. 이 상층 저기압으로 들어 온 무겁고 건조한 공기 가운데 상당
부분
이 제트기류를 타고 동남쪽으로 이동하다가 차갑게 식은 광활한 지표면 위로 쏟아져 내린다. 이 공기는 다시 지상 고기압에서 발산하는 찬 공기가 된다. 봄철 가뭄은 겨울철 가뭄의 연장에 불과하지만, ... ...
꼬막과 피조개는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구멍이 막혔을 때 사용하는 청소 도구 모양을 하고 있다. 발의 근육으로 사발 모양의 끝
부분
을 누르면 공기가 빠져 나가고 진공 상태가 되는데, 이때 외분비샘에 들어 있던 접착제의 성분이 분비 된다. 접착제 역할을 하는 물질은 페놀성 단백질로 분자량과 아미노산의 순서(배열)까지도 밝혀져 ... ...
동물들의 여름나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학자의 말은 차치하고라도 모든 동물은 팔 다리 목 귀 꼬리와 같이 신체에서 길게 돌출한
부분
이 많으면 체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체열방산량은 그만큼 많아진다. 사슴은 1년중 체열방산을 가장 많이 할 때에 맞춰 남에게는 없는 특수한 돌출물인 뿔의 성장이 왕성하니 그야말로 안성맞춤이다.발한 ... ...
1%만 절약하면 제주도에서 2년 쓴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얼음을 만들어 낮시간에 냉방용으로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된 바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부분
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신규발전소 93년이후 가동전기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에너지는 이미 오래전부터 우리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편리한 에너지로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 전력 수요가 급격하게 ... ...
비전문가의 아전인수식 해석은 곤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그칠 수밖에 없다. 급변설의 비과학성생명현상 중에는 현대과학이 아직 밝히지 못한
부분
이 많다고 생각한다. 특히 생명의 기원에 관해서는 수많은 학설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어느 것도 완벽하지 않다. 이는 생명현상을 밝히려면 거시적인 것에서부터 분자나 원자의 수준에까지 완벽한 이해가 ... ...
고집적반도체 기능 높이는 연구 활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시퀜셜(sequencial)회로를 주대상으로 한다. 디자인 단계에서 테스트가 용이하도록 특정
부분
의 회로를 변경하는데, 이를 조직적이고 효과적으로 하고자하는 연구 분야다.이밖에 고집적 메모리를 시험하기 위한 기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점차 메모리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테스트에 더욱 ... ...
소프트웨어산업 내일 여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알려진 한글코드변환프로그램 '카멜레온'의 개발자 김재원씨(35), 도깨비카드의 하드웨어
부분
을 만들었던 건국대 전자공학과 대학원생 김원준씨(24)가 같이 참여하고 있다. 최철룡씨는 최근 도깨비카드의 복제품이 지방에서 나돌아 상호를 '한도컴퓨터'로 바꾸는 등 골머리를 썩이고 있다.신선한 ... ...
토성의 테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야누스와 에피메테우스를 연구해 왔다. 이 위성들은 토성을 둘러싼 테의 바로 안쪽
부분
에 있으며 지구에서 테의 모서리를 볼 수 있었던 지난 1966년까지는 발견되지 않았다.야누스와 에피메테우스는 작은 위성들로서 거의 똑같은 궤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다. 4년마다 그 별들은 ... ...
차세대원전 「몬주」 내년 10월 점화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연료개발사업단은 지난 5월 후쿠이(福井)현에 6천억엔을 들여 고속증식로의 발전플랜트
부분
인 '몬주'를 완성했다. 이 원전이 계획대로 건설된다면 내년 10월에 점화되고 오는 94년부터 전출력(全出力)을 내게 된다.고속증식로는 핵융합발전으로 가는 전단계로 21세기초에나 상용화될 것으로 ... ...
야구방망이 손잡이를 지나치게 꽉 쥐지 말 것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야구선수들은 그들의 타격코치로부터 손잡이
부분
을 단단히 잡고 타격에 임하라고 지도를 받아왔다. 그래야 체중을 실은 한방을 날릴 수 있다는 그럴듯한 설명과 함께.그러나 최근에 공과 방망이가 닿는 순간에는 손잡이를 꼭 잡을 필요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야구계의 화제가 되고 있다. 미국 ... ...
이전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7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