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
타인
남쪽
남향
d라이브러리
"
다른사람
"(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분 따라 변해요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보는 사람의 기분에 따라 색감과 붓터치가 달라지는 그림이 등장했다.영국 배스대의 존 콜로모스 박사는 웹 카메라에 찍힌 얼굴 표정으로 감상자의 기분을 알아내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이를 활용한 전자그림을 만들었다. 지난 8월 3일 ‘라이브사이언스’는 이 그림이 감상자의 얼굴에서 입모양 ... ...
개는 죽지만, 세포는 옮겨 산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수세기 전에 살았던 한 마리의 개과 동물이 진화해 현재 세계의 개들 몸속에 살고 있다. 지난 8월 11일 세포생물학 분야 권위지 ‘셀’(Cell)에 실린 논문에서 영국 런던대의 로빈 와이스 교수는 개에서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인 ‘성기육종’을 연구한 뒤 이 같이 결론을 내렸다. 이 논문의 제3저자는 ... ...
세레스, 카론, 제나 추가돼 12개로 늘까?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영국의작곡가 구스타프 홀스트는 1913년 친구에게 점성술에 대한 얘기를 듣고 이듬해 관현악 모음곡인 ‘행성’을 작곡했다. 그런데 1916년 완성된 ‘행성’에는 태양계의 아홉 행성 중에서 ‘막내’인 명왕성이 빠져 있다. 명왕성은 1930년에 발견됐기 때문에 당시 사람들은 해왕성을 포함해 태양계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소설 ‘다 빈치 코드’는 파리 루브르 박물관의 살인사건으로 시작되는 역사 스릴러다.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그림 ‘최후의 만찬’에 감춰진 비밀 코드가 단서의 첫 실마리를 던지고, 수수께끼의 실타래가 점점 미궁으로 빠져드는 동안 진리와 허구, 배반과 음모가 반전을 거듭한다.다 빈치 코드는 ... ...
1. 첨단과학에 코드 맞춘 SF '스타트렉'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어떤 TV연속극의 팬들이 수십만통의 편지를 정부에 보낸 일이 있었다면? 요즘처럼 간편하게 e메일이나 온라인 댓글을 작성하는 얘기가 아니다. 30년 전 미국에서 최초의 우주왕복선이 제작됐을 때 SF시리즈 ‘스타트렉’의 광적인 팬들이 워싱턴의 미국 행정부로 40만통에 가까운 편지를 보낸 일을 ... ...
1. 세계로 가는 철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철도의역사는 산업혁명이 무르익을 무렵 영국 탄광지역에서 시작된다. 선로는 이미 중세 후기부터 광산갱도에 이용돼 왔지만 그 위를 움직이는 화차는 말이 직접 끌었다. 문제는 그 말의 사료비였다.경제학자 아담 스미스의 계산에 따르면 말 한 마리를 먹이는 데는 8명의 노동자가 소비하는 식품 ... ...
머리카락보다 작은 미로를 탐험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복학생 안기억 군은 시험 문제지를 받아 든 순간 머릿속이 텅 빈 것처럼 느껴진다. 뒤쳐진 공부를 따라잡기 위해 열심히 공부했지만 눈에 보이는 하얀 것은 종이요, 검은 것은 글자다. 옆에 앉은 새내기는 벼락치기 공부를 했다고 손사래를 쳤지만 답안지를 적기에 바쁘다. 생각해보면 안 군도 입대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4월 하면 무슨 날이 떠오르나요? 4월 5일 식목일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고요? 식목일도 무척 중요한 기념일이 지만 의미 있는 날이 하나 더 있답니다. 바로 우리나라 과학이 귀빠진 날인 4월 21일 ‘과학의날’ 입니다.과학의날은 언제, 어떻게 생겨났을까?호랑이는 죽어서 ... ...
뒤죽박죽 백설공주 구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을 빼앗기 위해 나쁜짓을 일삼는 악당‘아이드리 시러이’가 일을 벌였다. 동화마을의‘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이야기를 뒤죽박죽 만들어 놓은 것. 이 사건을 해결할 사람은 퍼즐탐정 썰렁홈즈뿐이다. 만약 뒤죽박죽 되어 버린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이야기를 제대로 돌 ... ...
자연에 숨어있는 수학의 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하늘에서 흰 눈이 내린다. 앙상한 나뭇가지 위에도, 친구의 속눈썹 위에도 솜털처럼 가뿐하게 내려앉는다. 눈송이가 손등에 떨어진다. 눈이 녹는 차가움도 잊은 채 눈송이를 관찰한다. 눈송이의 모양이 육각형이라는 사실은 이미 오래 전의 독서를 통해 알고 있다. 그러나 자세히 보는 건 처음이 ... ...
이전
725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