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d라이브러리
"
개체
"(으)로 총 1,004건 검색되었습니다.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12
식물학에서 다른 말로 ‘포자’라고 한다. 포자는 ‘다른 생식세포와 접합 없이 새로운
개체
로 발생할 수 있는 생식세포’로 정의된다. 포자는 조류, 선류, 태류, 양치류와 같이 씨를 만들지 않는 식물에서 두드러질 뿐 종자식물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그러니 민들레의 씨를 홀씨라고 부르는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11
있다. 캐나다의 앨버타주는 공룡들의 공동묘지라고 불릴 만큼 새끼부터 성체까지 3백
개체
이상 센트로사우루스(Centrosaurus)화석이 산출됐다. 뼈를 둘러싼 암석의 성분은 이 지역이 과거 깊은 강이었으며, 센트로사우루스 무리가 강을 건너려다가 물살에 휩쓸려 죽었음을 암시한다.더 극적인 예는 미국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11
해충이 입맛이 없어져 더 먹을 마음이 안 생기게 한다.한편 벌레에 공격받은 담배는 다른
개체
에게도 이 소식을 알린다. 공격받은 잎에서는 페놀계 화합물인 살리실산이 생산된다. 이 물질은 휘발성이 있어 바람에 날려 다른 담배에 전해진다. 그러면 다른 담배들도 일제히 소화억제 물질을 분배해 ... ...
1. 사랑의 묘약, 냄새와 호르몬
과학동아
l
199910
경우에는 이분법(무성생식)으로 증식을 하지만, 먹이가 없거나 환경이 나빠지면 두
개체
가 합쳐지면서 유전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유성생식)을 택한다. 이에 관여하는 것(α-mating factor)이 GnRH와 유사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있다.포유동물의 성체에서 GnRH를 분비하는 신경세포는 뇌의 시상하부와 그 ... ...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10
한가지 딜레마를 낳았다. 시민들은 ‘복제’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진행했고, 인간
개체
복제는 물론 인간배아복제 역시 엄격히 금지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동물복제 역시 금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그런데 인간 배아에 대한 연구는 ‘복제’ 기술이 소개되기 이전부터 세계적으로 각 ... ...
① 보다 맛있고 영양가 높게
과학동아
l
199909
더욱 무럭무럭 자라도록 수정란에 산양의 성장유전자를 이식한 것이다. 이처럼 한
개체
의 수정란에 다른 종의 유전자를 이식함으로써 새로운 형질을 갖춘 생명체를 만드는 기술을 형질전환기술 또는 유전자생체이식기술이라 부른다.이 실험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됐을까. 먼저 시험관에서 ... ...
⑤ 복제기술과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09
태어난
개체
가 인간성장호르몬 유전자를 가질 확률은 이론상 100%에 해당한다(물론 이
개체
가 성장호르몬을 분비하는데 성공할 지는 별개의 문제다). 더욱이 체세포가 어느 성(性)으로부터 얻은 것인지 알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성을 가진 가축을 태어나게 하는 일이 어렵지 않다.실제로 영국의 ... ...
④ 인간 대신 난치병 앓는 누드쥐
과학동아
l
199909
전체 세포에서 일부의 세포만 유전자가 변형된 셈이다. 그 결과 수정란이 분화돼 하나의
개체
가 형성되면 ‘부분적으로’ 유전형질이 변형된 동물 ‘키메라’(chimera)가 탄생한다.이 키메라를 어디에 쓸 수 있을까. 과학자들이 노리는 것은 변형된 유전형질이 키메라의 생식세포로 전해지는 것이다. ... ...
실험실은 동물보호 사각지대
과학동아
l
199909
실험실을 부수고 48마리의 형질전환 쥐를 훔쳤다. 알츠하이머 치매 유전자를 이식한
개체
들이었다. 한 연구원에 따르면 이 사건 때문에 알츠하이머에 대한 연구가 2년 정도 미뤄졌다고 한다. 실험동물의 생존을 보장하고 불행을 막아야 한다는 ‘동물권’(animal right) 주창자들의 수많은 활동 사례 ... ...
돌리의 생체시계는 몇 시인가
과학동아
l
199907
있다.“분자 수준 나이는 실제 나이와 다르다”하지만 이런 ‘분자 수준’의 흠집이 한
개체
가 비정상적으로 노령화됐음을 알리는 직접적인 증거는 아니다. 국내에서 복제기술을 활용해 우량 젖소와 한우를 생산하는데 성공한 황우석 교수(서울대 수의학과)는 바로 이 점을 지적한다.황교수는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