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상함
정숙함
진짜임
d라이브러리
"
순수함
"(으)로 총 1,092건 검색되었습니다.
1. 동굴벽화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706
스페인 북부 알타미라 동굴 벽화에는 재미있는 그림이 있다. 기원전 1만년에서 5천년 사이로 추정되는 이 그림에는 사냥꾼에게 쫓기는 멧돼지가 그려져 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멧돼지의 다리는 4개가 아니라 8개이다. 아마도 멧돼지가 도망가는 모습을 표현하고자 하는 당시의 감각적 표현 기법일 ... ...
3. 우리는 왜 애니메이션을 좋아할까
과학동아
l
199706
TV드라마에서 흔히 등장하는 주제는 ‘신데렐라’류 멜로물이다. 우리의 ‘신데렐라’ 주인공이 피터팬 같은 능력을 갖은 남자 주인공의 그림자 안에서만 행동하게 되는 구태의연한 이야기. 우리는 왜 그런 이야기에 끊임없이 빠져들고, 재미있어 하는 것일까. 그것은 드라마가 우리의 감성을 자극 ... ...
수학계의 노벨상 필즈메달
과학동아
l
199704
노벨상에는 수학이 없다. 그래서 노벨상은 과학상으로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왜 노벨상에는 수학이 빠졌을까. 또 수학자들이 수학 발전을 위해 만든 필즈상은 무엇인지를 알아본다.(이 원고는 지난 2월27일-28일 서울대에서 개최된 제4회 자연과학 공개강연 내용 중에서 발췌한 것이다.)필 ... ...
시베리아의 진주 바이칼
과학동아
l
199704
시베리아 대륙의 러시아 땅에 조용히 자리잡은 바이칼은 지구상에서 가장 깊고, 깨끗한 호수로 알려져 있다. 가장 깊은 곳은 1천6백73m이고 물의 투명도는 40m로 세계 최고이며 넓이는 남한의 1/3이다. 그 속에 담긴 물은 지구 담수량의 1/5이나 된다. 바이칼의 겨울 평균 기온은 영하 20℃ 정도. 호수가 ... ...
Ⅰ. 속임수?이해가능한 과학적 연기!
과학동아
l
199704
현대 마술의 본질은 '과학'이다. 과학의 뒷받침없이 구성할 수 있는 마술공연은 이제 상상하기 어렵다. 마술가들은 더 나은 마술을 위해 끈임없이 과학을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치를 고안한다.마술이란 단어는 한문으로 귀신 마(魔)자에 꾀 술(術)자를 쓴다. 이 말을 그대로 풀이하자면 ‘귀신같 ... ...
서커스사이언스
과학동아
l
199703
서커스를 구경하면서 복잡한 수이론이나 신경과학을 연상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서커스를 하기 위해 쳐놓은 높은 천막 지붕 아래에는 광대나 불을 먹은 재주군을 위한 자리뿐 아니라 과학을 위한 자리도 있다. 곡예사들은 물리와 생물의 법칙이 그들의 움직임에 적용되고 있다는 사시 ... ...
2. 컴퓨터시대에 부활된 선사시대의 유물
과학동아
l
199703
아이콘은 조물주가 이 세상을 창조할 때부터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인간들은 표정, 자세, 손가락 등을 통해 의사소통을 했고 그들의 생각이나 관념을 전달하고 기록하기 위한 방법들을 탐구해 왔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아이콘의 조상인 그림이다. 그림은 고대 인간들이 사용했던 최초의 기록방법이 ... ...
새로운 차원의 오락 온라인 게임
과학동아
l
199702
드디어 게임 쪽에도 네트워크 바람이 불었다. 그동안 자신의 PC와 게임기에서 혼자 즐기는데 만족했던 게임 마니아들이 함께 동참할 친구를 온라인에서 찾기 시작한 것이다. 똑같은 게임도 여럿이 즐기면 기쁨두배수많은 컴퓨터 프로그램 중 게임이 유달리 사랑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마디로 ... ...
수능·서울대 수석합격 서준호
과학동아
l
199702
1등. 누구나 한번쯤 꿈꾸는 최고의 자랑이다. 그것도 전국 수석이라면 자신뿐 아니라 주위 사람들에게도 커다란 기쁨이다. 9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전국수석을 차지한데 이어 서울대 수석합격이라는 영예를 거푸 거머쥔 제주 대기고 3학년 서준호군은 가정과 학교, 지역주민에게 환희를 안 ... ...
4. 로봇과학자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701
로봇은 현존하는 모든 과학이 총동원된 종합과학의 산물이다. 이 연구에 동참하기 위해서는 로봇에 대한 어린 시절의 호기심을 잃지 않는 것이 첫걸음이다."이 다음 커서 뭐가 되고 싶니?"초등학교 입학할 무렵의 어린이들에게 이 질문을 던지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대답이 있다.“로봇 만드는 과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