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7,756건 검색되었습니다.
꼭꼭 숨어 있는 사인곡선 찾기!
수학동아
l
201601
볼 수 있습니다.이 외에도 우리 주
위
에는 사인 곡선이 곳곳에 숨어 있습니다. 호수
위
의 물결과 놀이공원 대관람차의 높이 변화,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소리에서도 찾을 수 있지요.앞으로 주변에서 되풀이되는 현상이나 진동하는 무언가를 발견했다면, 사인곡선을 찾아낼 수 있는지 한번 ...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
수학동아
l
201601
스마트폰은 화면부터 떨어질까?첫 날, 뭔가 재미있는 게 있어서 스마트폰에 시선을 두고 걸어가고 있었다. 아뿔싸! 걸어오던 사람과 부딪혀 스마트폰을 떨어뜨리고 ... 참고 논문 : 송영길과 김학수의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각기둥과 각뿔 요리하며입체도형탐구하기 (중등)작도로 즐기는 하트 모양디자인
수학동아
l
201601
하트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정사각형 안에 대칭이 되도록 반원을 다양한
위
치에 그린 다음 잘라낸다. 앞쪽과 같은 방법으로 두 기본도안을 직각으로 엇갈리도록 끼워 넣으면 여러 가지 무늬의 하트 모양을 만들 수 있다. 몇 가지 예시를 학생들에게 보여 준 다음 학생들이 자신만의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
과학동아
l
201601
있다. 이들은 아무리 기다려도 그 전에 지나왔던 경로와는 결코 만나지 않으면서도
위
상공간의 다른 부분으로 훌쩍 벗어나지는 않는다. 로렌츠의 나비가 대표적이다. 이 나비는 시간이 무한히 흘러도, 기존의 경로와는 절대 만나지 않으면서 동시에 나비 모양의 영역 안에 영원히 머문다. 이런 ... ...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
과학동아
l
201601
통해 광자의 양자 얽힘 현상을 표현했다(생성된 광자의 에너지가 줄어든 것을 표현하기
위
해 낮은 주파수를 의미하는 붉은색의 드레스를 입었다). “물리학은 말로 설명할 때보다 춤과 같은 비언어적인 매개로 설명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저는 좋은 과학자가 좋은 ... ...
[쇼킹 사이언스]눈이 두루마리처럼 둘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
날아가 버려요. 그래서 도넛 모양이 되기 쉽죠.마지막으로 두루마리 눈이 잘 만들어지기
위
해Brenda Armstrong(W)선 0~1℃ 정도의 기온이 유지돼야 해요. 이 정도의 기온에서는 두루마리 눈의 바깥면이 살짝 녹을 수 있거든요. 그뒤 바람이 두루마리 눈을 또 굴리면 바깥면에 새로운 눈 층이 잘 붙을 수 ... ...
[숲 이야기 하나]수목원 나무들의 겨울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답니다. 봄이라는 가장 아름다운 계절을 자기들의 세상으로 만들기
위
해서아주 부지런히 노력을 하는 것이지요.이처럼 겨울눈은 어려움의 상징인 동시에 희망이랍니다. 어려운 겨울을 이겨낸 풀과 나무들이 피워낼 새 봄의 찬란한 꽃들을 기다리며, 우리도 희망이 가득한 ... ...
리만가설
수학동아
l
201601
수학자 엔리코 봄비에르에게 내기를 제안했다. 자이에는 3억 개의 영점이 일직선
위
에 있으면 거짓이라는 주장을 철회하겠다고 밝혔다. 컴퓨터로 3억 개까지를 보일 수 있다면 이는 리만 가설을 사실로 인정할 충분한 근거가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그런데 1978년 네덜란드의 수학자 헤르만 테 ... ...
[재미] 마왕의 탑-1 화 탑에 갇힌 단
수학동아
l
201601
주변을 살펴보자 구석에 계단이 보였다.“저 계단이 탑 꼭대기로 갈 수 있는 통로인가?”
위
로 올라갈 통로를 찾던 단의 눈에 감옥에 갇혀 있는 한 남자가 들어왔다.“누…, 누구시죠?”감옥 구석에 체념한 듯 앉아있던 남자는 단의 목소리에 헐레벌떡 창살 앞으로 달려와서 말했다.“부탁이야. 나를 ... ...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
과학동아
l
201601
점을 고려해야 한다. 김 교수는 “앞으로 DNA 분석을 통해 개인 맞춤의학이 발전하면
위
험인자를 좀 더 정밀하게 알고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