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지
방해
중단
중절
단선
둥에서 잡기
가로채기
d라이브러리
"
차단
"(으)로 총 998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
과학동아
l
199606
파동에서 발견되는 이 성질을 회절이라 한다. 예를 들어 수파(水波)를 두장의 판자로
차단
하고 가느다란 틈새로 통과시키면 파동이 아름다운 반원형을 그리며 퍼져나간다. 빛도 마찬가지다. 모조지에 매직으로 검은 선 한가닥을 그린 후 사진을 찍으면 필름에는 가느다란 틈새가 만들어진다. 여기에 ... ...
식물도 동반자살한다
과학동아
l
199606
이때 세포질과 핵이 오므라들면서 세포가 죽게 된다.램박사는 “칼슘이 들어오는 문을
차단
시키는 약물을 투여했을 때와 칼슘이 없는 조건에서 세포를 키웠을 때 세균에 감염된 세포가 동반자살을 하지 않았다”고 말하면서 “이런 현상은 담배에서도 발견된다”고 설명했다. 또 죽어가는 ... ...
첨단화된 북한 감시
과학동아
l
199605
command control communcations)체제를 제공하는 전술적 역할과, 적의 공수 위협을 감지-확인-추적-
차단
하는 전략적 역할로 나눌 수 있다.미국세관의 책임자가 탑승해 마약 소탕 작전에도 참가한적이 있는 이 관제기가 본격적으로 위력을 발휘한 것은 인류 전쟁역사상 처음으로 본격적인 공중전이 벌어진 ... ...
기능성 색소의 세계 온도따라 벽지 색깔 바뀐다
과학동아
l
199605
배열하게 되고 이 때는 빛이 들어와도 우리는 무색으로 느끼게 된다.그러나 전류를
차단
하면 액정분자와 이색성색소는 소자와 평행하게 되고 이색성 색소는 빛을 흡수해 색깔이 나타나게 된다. 삼원색의 이색성 색소를 조합해 배열시키면 대형칼라 화면을 만들 수 있다.포토크로미즘은 빛을 받으면 ... ...
위에 있는 또하나의 뇌
과학동아
l
199605
환자들은 종종 깊은 혼수상태에 빠지곤 하는데, 이들에게 벤조디아제핀의 작용을
차단
하는 약물을 투여하자 몇 분 안에 혼수상태에서 깨어났다. 어떤 일이 벌어진 것일까.간에 손상이 오면 평소 간에서 분해되던 물질이 곧바로 뇌에 도달한다. 그 물질 중 일부는 '스컹크가 내뿜는 냄새' 를 피우는 ... ...
빛을 기록하는 인류 최대 발명품 CAMERA
과학동아
l
199604
이보다 크면 망원렌즈, 작으면 광각렌즈라고 부른다.■셔터셔터는 빛을 들어오게 하고
차단
하는 일을 한다. 셔터속도는 셔터가 열려 있는 시간을 말한다. 셔터는 빛의 양을 시간적으로 조절하면서 움직이는 물체의 표현에 영향을 준다. 빠른 셔터속도는 순간동작을 정지시켜 보여주며, 느린 ... ...
서울 면적의 1.6배
과학동아
l
199604
작은 식물들 위로 키가 큰 초본식물종이 자라기 시작한다. 이때 키가 큰 식물들이 빛을
차단
해 키 작은 식물들의 생명을 빼앗고, 마침내 가장 끈질긴 잔디마저 추방된다.키 큰 초본들이 듬성듬성 들어선 부분은 비바람으로 크게 침식돼 낮은 구릉형의 황량한 초원이 형성된다. 이곳은 꽉 짜인 뿌리가 ... ...
대기오염 상식 잘못 알려진 것 많다
과학동아
l
199601
따라 두 얼굴의 역할을 한다. 성층권에 존재하는 오존은 태양에서 지구로 오는 자외선을
차단
해 인간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주는 반면, 지표면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오존은 도리어 지구상의 동식물에 피해를 준다.성층권에 존재하는 오존이 인간이 합성한 '프레온가스' 라는 물질에 의해 ... ...
피부 인생의 계급장, 주름은 왜 생기나
과학동아
l
199601
치료방법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주의사항은 햇볕을 피하고 일광
차단
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노년기의 검버섯나이를 먹어 50대에 들어서면 갈색, 흑갈색 또는 검은색의 반점들이 얼굴 앞가슴 손등에 서서히 생기기 시작한다.흔히들 검버섯이라고 부르는 이 반점들은 ... ...
위궤양치료제 타가메트와 잔탁
과학동아
l
199512
연구를 시작했다. 그들은 처음에 위산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인 가스트린의 작용을
차단
하는 물질을 찾는 연구를 했다. 그러나 아무런 결과도 없었다. 1972년 SKF의 블랙이 발표한 뷰리마미드 논문은 히스타민이 작용하는 수용체에 두 종류가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이것은 연구팀에게 중요한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