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야옹이
나비
고냉이
괭이
나비야
늙은 암코양이
소녀
d라이브러리
"
고양이
"(으)로 총 764건 검색되었습니다.
협동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두더지는 진짜 쥐의 털없는 새끼처럼 보이지만 우리 인간이 흔히 털이 보송보송한 어린
고양이
나 강아지를 볼 때 터뜨리는 "어머나, 정말 귀엽게 생겼네" 식의 반응은 불러 일으키지 않는다(우리들의 아기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털이라곤 전혀 없는데도 말이다).그러나 이 털없는 두더지는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섬유를 집어넣은 FRM(섬유강화금속)도 용도가 다양한 복합 재료중의 하나다. 만약 금속이
고양이
수염 모양의 결정(선상결정)을 이루게 되면 그 인장강도가 1백배나 커지는데 FRM도 이같은 결정구조를 지향하고 있다.일본에서 처음 개발된 탄소섬유는 섬유를 탄화시켜 만든 것인데 철보다 강하고 ... ...
「멋진 신세계」를 그리는 햇병아리 SF작가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SF동호인 모임이 있다. 헉슬리가 예언한 우울한 미래보다는 과학기술의 발달과 인간성의
고양이
조화되는 낙관적인 내일을 그리려는 이들은 말 그대로의 멋진 신세계를 꿈꾸는 젊은이들. 컴퓨터 통신에서 필명 날려지난 9월에 첫 모임을 시작한 이들은 사실 컴퓨터통신망인 PC서브의 '추리와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내놓게 되었고 우량 고기소를 계속 육종했다.이렇게 육식을 일삼게 되면서 그들은 개나
고양이
등 애완동물에 대해서는 이상하리 만큼 강한 집착을 갖게 되었다. 반면 소 돼지는 식품으로 간주, 도축에 대한 연민을 조금도 느끼지 않는다.이로써 유럽인 특유의 잔인성이 생기게 되었다. 동양에서는 ... ...
동물들의 여름나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있는 동물은 그다지 많지 않다. 예컨대 사람 소 말 유인원 등의 땀샘발달이 양호하고 개
고양이
는 발바닥에 땀샘이 있다. 하마류는 혈한(血汗)이란 특수한 땀을 흘리나 체온조절에 효과가 있는지는 의심스럽다. 땀을 흘리는 것 말고도 분뇨의 배설, 호흡 등은 체열방산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 ...
동물계의Mr. 클린 오소리 "나와 너구리를 같이 취급하지 말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얼굴은 원통모양이고 주둥이는 뭉뚝하다. 눈과 귀는 아주 작다. 발톱은 단단하고 여느
고양이
과의 동물처럼 몸 안으로 감추지 못한다. 네다리는 굵고 짧으며, 배에는 세쌍의 젖꼭지가 있다.털은 거칠고 끝이 가늘며 뾰족하다. 몸은 회백색인데 갈색털이 섞여 있다. 보통 짐승과는 달리 등쪽인 ... ...
성적(性的)행동 지배하는 제6감각기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있는 시알산이 검출됐으나 이 감각기관의 점액에서는 시알산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고양이
는 시각에 비해 후각이 발달해 있고 냄새를 풍김으로써 애정을 표시한다. 수놈은 발정기의 암놈 몸으로부터 나오는 페로몬과 오줌 냄새를 맡고서 암놈에 접근한다.고구레는 "코는 음식 냄새를 맡는 반면에 ... ...
뛰다가 지치면 TV보며 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동작을 지각하는데 수백개의 영상이 필요하다는 걸 발견했다. 하지만 닭이나 원숭이
고양이
몇종의 도마뱀류는 거의 인간 수준으로 초당 60개의 영상만 필요하다. 결국 이들은 동물왕국의 잠재 시청자층인 셈이다.그런데 2차원 스크린에 나타난 움직임을 지각하는 동물들이 과연 그들이 본 영상을 ... ...
치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이렇게 포획한 맹수를 약 6개월 동안 훈련시켜 사냥에 이용했던 것이다. 일반
고양이
과(科) 맹수들과는 달리 치타는 온순하고 길들이기 쉬워 귀족이나 왕가의 애완동물로도 인기를 모았다. 치타를 사냥표범이라고 부르는 것도 그 때문이다.귀족들의 치타사냥이 심해지면서 점차 그 수가 줄어들게 ...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1백30g, 척수가 25g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이는 양서류 파충류 조류는 물론 쥐나
고양이
원숭이보다 훨씬 무겁다.그렇다면 사람뇌보다 무거운 뇌를 가진 동물은 없을까. 그렇지 않다. 뇌의 중량만을 놓고본다면 코끼리가 약 5㎏이고 고래가 약 8㎏으로 사람뇌보다 훨씬 무겁다. 그러나 체중 대비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