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네옴시티가 그리는 미래도시의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네옴(NEOM)’은 새로움을 뜻하는 그리스어 ‘네오(NEO)’와 아랍어로 미래를 뜻하는 무스타크발(Mustaqbal)’의 첫 글자 ‘M’을 합친 말로, 사우디아라비아의 A있는데요. SF영화에서나 볼 법한 규모와 모습 때문입니다. 상상초월 스마트 시티 네옴은 정말 가능할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 ...
- [만화 뉴스] 퀘타, 론나, 퀙토, 론토…, 새로운 단위 표현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퀙토와 론토는 1030분의 1, 1027분의 1을 뜻합니다. 호주 RMIT대학교 올리버 존스 환경화학과 교수는 언론을 통해 “접두어가 사람들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줄 거다”고 말했답니다. ●1030은 10을 30번 곱한 수로, 1 뒤로 0이 30개 달려 있다. 예를 들어 1000은 103으로 10을 3번 곱한 수이며, 1 ... ...
- [4컷 만화] 필름 붙이자 한겨울에도 식물이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63일간 높이는 1.2배, 무게는 1.4배 더 성장했습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쇼지 스나오 교수는 “필름을 재설계해서 자외선을 녹색이나 노란색 등 다른 색으로 자유롭게 제어한다면, 식물에 따라 광합성에 최적화된 빛을 만들어 농업 및 임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특집] 편견을 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옮겼다. 이윤복 인천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나이, 이력, 국적 등 모든 면에서 장 교수는 수학자가 성공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기존 편견을 깨는 수학자”라면서, “누구나 언제든 어떤 조건에서도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수학자”라고 설명했다. 용어 설명*문화대혁명 : ... ...
- [특집]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나쁘기도 한 모호한 감정상태도 있죠.” 앙상블양자비트팀을 이끄는 파비오 도나티 교수의 비유다. 이렇게 좋으면서도 동시에 나쁜 기분 상태는 두 가지 상태를 동시에 갖는 양자 중첩과 닮았다. 양자얽힘이란 서로 다른 양자들의 기분이 연결되어 서로 영향을 주는 것이다. 얽혀있는 두 양자 중 ... ...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생식 능력을 잃어버렸으므로 씨앗을 만들지 못하는 것이다. 기하라가 교토제국대학 교수로서 씨 없는 수박을 만들었던 1943년에, 우장춘은 교토의 다키이 종묘 회사에서 농학을 연구했다. 더욱이 염색체 수에 대한 연구는 그의 박사학위 논문 주제인 ‘종의 합성’과도 깊은 관계가 있었으므로, 그는 ...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이민 정책의 도입, 늘어나는 노인들을 위한 의료 시설 확충 등이 한 예이다. 조영태 교수는 독자들도 ‘인구학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앞으로 바뀔 사회를 상상해보자고 조언했다. “인구학자들은 현재 사회의 모습을 기준으로 미래를 상상합니다. 당연히 암울한 미래가 그려지기 쉽지요. 하지만 ... ...
- ‘진짜 산학협력’ 해보고 싶다면.... 창원대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차지했다. 이런 연구결과물은 다시 학부생을 가르치는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조영태 교수는 “학부생 입장에선 지금 배우는 기초 교육 내용이 응용되면 저런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사실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제조융합전공에서는 인공지능 분야 등에서 ‘비교과 ... ...
- [특집] 초거대 도시 어떻게 이동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멀티로터 수직이착륙기 15대가 시험 운행 중입니다.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김진구 교수는 “경제적인 부분을 제외하면 네옴시티 실현이 기술적으로 큰 어려움이 있을 것 같지 않다”라며, “네옴시티의 성공 여부보다 미래 스마트 시티의 청사진을 보여준 것”에 더 큰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 ...
- [가상 인터뷰] 세로토닌 억제 물질로 모기 개체 수 조절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사슬을 통해 다른 동물과 인간에게 전달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어. 그래서 카미코우치 교수는 “모기가 사람을 무는 것을 막기보다 우선 모기가 적게 태어나도록 해 보자”며, 모기의 짝짓기를 방해하는 방법을 생각한 거야. 그럼 내년 여름엔 모기가 줄어들까?시간이 필요할 거 같아. 수컷 모기의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