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모"(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고리 1호기] 시작과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화폐 가치로 무려 1560억 원이라는 어마어마한 건설비용이 들었을 정도로,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건설 사업이었지요. 이렇게 큰 비용을 들여서 원자력 발전소를 세운 건, 우리나라에 석유와 같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자원이 부족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계속해서 원자력 ... ...
- 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고로 야나세 매니저는 “방사능과 물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작은 개복치가 피해 규모와 핵연료 잔해의 위치 등을 파악해 원전 해체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상어도 깜짝 놀란 수중로봇이 온다!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 ...
- Part 3. 폭염, 막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같이 큰 규모의 자료는 물론, 각 지역별 토양의 종류와 수분, 지형적인 특징과 같은 작은 규모의 자료들까지 수집할 예정이지요.이를 통해 훨씬 정확한 기후 예측 모델을 만들 거예요. 또 이 자료들을 처리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도입할 예정이지요. UNIST 도시환경공학부 이명인 교수는 “폭염 예보가 ... ...
- Part 3. [미션 1] 코로나의 수수께끼를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거예요. 태양 표면에서는 플레어라는 거대한 폭발이 일어나는데, 그보다 더 작은 규모의 나노플레어가 더 자주 발생해요.나노플레어라고 해도 지구보다 큰데다 핵폭탄 폭발과 맞먹는 위력이에요. 그래서 폭발할 때마다 근처 태양 대기의 온도가 1100만℃까지 올라가지요. ➊ 태양의 대류층에서 ... ...
- Part 4. [미션 2] 태양풍을 관측해 대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오면 각종 피해가 발생해요. 방사선에 노출되거나 인공위성과 전자 장비가 고장나고, 대규모 정전까지도 일어날 수 있지요.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큰 태양폭풍은 1859년 9월에 발생했어요. 보통 태양폭풍이 지구로 오려면 2~3일이 걸리는데, 이때는 17시간 만에 도착했어요. 이로 인해 극지방뿐만 아니라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11월 15일 오후 2시 29분 31초, 경북 포항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했다. 건물 벽이 떨어져 나가고, 땅은 쩍쩍 갈라졌다. 진앙과 가까운 포항 북구 ... 것”이라며 “3개 지각판의 경계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데, 판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진 규모도 최대 7.6~7.7 정도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집계되는데, 실제 유병률은 몇 배 이상일 거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라며 “감염인 규모가 완전히 드러날 때까지는 신규 신고 건수가 매년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다른 나라보다 HIV 진단 시점이 늦다는 사실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사회적 낙인 때문에 ... ...
- Part 1. 수명이 다한 물건들은 어디로 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끝나고 은퇴한 4000대 이상의 군용기가 모여 있지요. 면적은 축구장 1430개 정도로 엄청난 규모예요. 일부는 수리해서 중고로 판매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기약 없이 방치되고 있답니다.한편, 아프리카 북서부에 위치한 모리타니에는 버려진 배들이 바다에 둥둥 떠 있어요. 원래는 수명이 다한 배는 ... ...
- [과학뉴스] 네이처 지구과학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풀 실마리가 됐다. 낮은 온도에서 녹은 석영이 단층면에서 윤활제 역할을 해서 지진의 규모를 키운다는 것이다. 네이처 지구과학의 2016년 기준 임팩트팩터(Impact Factor·피인용지수)는 13.941, H-지수는 132로 지구 및 행성 과학 관련 저널 중 세 번째로 높다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신뢰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과학자문위원회는 연구소 별로 운영되며, 연구소 규모에 따라 5~15명의 전문가로 구성된다. 막스플랑크협회 전체 과학자문위원 수는 750여 명이다. 과학자문위원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막스플랑크협회 소속이 아니면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과학자들로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