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본"(으)로 총 4,88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강조했다. 길이의 단위인 미터는 1983년 다른 단위에 비해 35년이나 앞서 기본 물리상수를 통해 정의됐다. 광속을 이용해 정의함으로써 정의 자체의 불확도가 영(0)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1989년 미터의 정의를 구현할 수 있는 ‘요오드 안정화 헬륨-네온 레이저’ 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 강팀 이겨야 유리한 새로운 FIFA 랭킹 시스템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이 점수 체계를 쓰고 있습니다. 경기의 특성에 따라 사용하는 변수가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 원칙은 간단합니다. 이길만한 팀이 이기면 점수가 조금 오르고, 반대로 질 것 같은 팀이 이기면 점수가 많이 오르는 것입니다. 상대적인 실력 차이를 점수에 반영한 것이죠. 독일 이긴 우리나라 왜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21세기 한국의 미래, 에너지자원공학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기업인 슐럼버저 등 다양한 기업에 졸업생들이 진출하고 있다. [인재상] 학과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는 확인해야 “종종 학과에서 뭘 배우는지 제대로 알아보지 않은 채 지원한 학생들의 자기소개서를 보면서 안타까움을 느낍니다.”허 학과장은 에너지자원공학과에 관심 있는 수험생이라면 ... ...
- Intro 2. SF 속 우주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블래스터는 플라스마 탄 SF에 가장 자주 등장하는 ‘단골’ 우주무기도 기본적으로는 돌, 화살, 총알 등을 발사하는 투사 무기와 다를 바 없다. 그런데 이런 무기만 있다면 아무래도 재미가 없다. 명색이 SF인데 빛나는 광선이라도 이리저리 날아다녀야 보는 맛이 나지 않겠는가.그래서인지 SF에는 ... ...
- Part 4. 독자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각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지역에 위성을 머물게 하는 ‘지역 위성항법시스템(RNSS)’에 해당한다. 위성항법은 기본적으로 1970년대에 완성된 기술이며, 개발에 10년 이상 긴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현재의 최신 기술을 반영하기 어렵다. 더욱이 위성항법시스템을 중단 없이 운용하는 과정에는 다수의 위성과 지상 시스템이 ... ...
- [Origin] 인간을 지키는 방패, 오존층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아직 원래 상태로 회복될 때까지는 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즈음 다시 한번 기본적인 질문을 떠올려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왜 성층권의 오존량 변화를 모니터링 해야 할까요? 염소 원자가 오존을 산소로 바꿔오존(O3)은 산소 원자(O) 3개로 이뤄진 분자로, 대부분 성층권에 분포하고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R&E 활동, 교사에게 도움 받는 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지식이 부족한 상태로 찾아오는 경우도 꽤 많습니다.R&E를 할 경우 주제나 실험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이나 내용은 미리 숙지하고 내용을 정리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사도 관련 분야를 전부 아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질문을 받은 뒤 관련 자료를 찾아보거나 다른 전문가에게 문의해야 하는 ... ...
- 바다 위 8층 빌딩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바닷속으로 던져 넣을 수 있다. 크레인과 윈치를 사용해 수심별로 수온, 염분 등 해양의 기본적인 상태를 측정한다. 측정된 데이터를 즉시 컴퓨터 데이터로 변환한 뒤 메인 연구실의 컴퓨터로 보낸다.육지의 연구 시설에 준하는 완벽한 컴퓨터 시스템도 이사부호 연구 시설의 ‘꽃’으로 불린다. ... ...
- Part 2. 개성만점 수상자들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제 연구 분야의 시초는 ‘수론기하학’이에요. 대칭 공간처럼 겉모습은 다른데 기본적으로 같은 대상을 연구하지요. 최근에는 정수론에 ‘해석학, 위상수학, 동역학계, 에르고딕 이론 같은 현대 수학 이론을 접목하면서 연구가 더 활발해지고 있어요.Q 2014년 필즈상을 받은 만줄 바르가바 교수는 ... ...
- Part 3.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설계도를 이용해 순서에 맞게 실을 들어 올려 줄 수 있다. 화본은 반복해서 넣을 무늬의 기본 단위를 성글게 엮어 넣은 것으로, 작업자는 화본에서 순서대로 들어 올려야 하는 날실을 확인할 수 있다. 통사(通絲)로 불리는 화본의 날실은 아래쪽의 실제 날실과 연결돼 있어서 작업 순서에 맞게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