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의
말다툼
토론
언쟁
분쟁
쟁론
투쟁
d라이브러리
"
논쟁
"(으)로 총 951건 검색되었습니다.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스텐리,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결정화에 성공. 바이러스가 생물인가 아닌가를 놓고
논쟁
이 벌어짐1938년 독일 루스카의 전자현미경으로 처음 바이러스의 형체를 보게 됨1939년 미국의 데르브뤼크 등, 파지 감염세균이 죽는것은 파지의 증식에 의한 것임을 확인1948년 미국의 엔더스 등이 세포배양에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새로이 도전하는 젊은 과학자들에 의해 분명히 밝혀질 것이다.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
논쟁
에서 누가 이기느냐가 아니라 이러한 이산화탄소의 흡수가 멈추어 버리기 전에 그것을 정확히 밝혀낼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이 정확히 사라져야만 우리 인류는 다가오는 미래를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만들어 그 모양이나 방출물을 조사하고 대형 충돌총을 사용한 실내 실험으로 그
논쟁
의 종지부가 찍혔다. 충돌총을 사용한 실내실험 결과 예상과는 달리 충돌각도와 크레이터 모양의 관계는 충돌각이 극히 작은 약 5도 이하의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원형을 이루고 있음이 밝혀졌다.또한 인공 ... ...
재활용 기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그리고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물건(물질적 대상)들을 어떻게 처리할 것이가에 대한
논쟁
은 더욱 많다. 요즘에는 사람들이 재활용의 원칙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조짐들이 보이고 있다.예를 들어 보자. 레이저 프린터를 쓰는 컴퓨터 사용자들은 이제 다 쓴 부품더미에 폐품을 추가하지 않을 수 있게 ... ...
인간복제 논란 그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아기가 태어난 이래 계속된 인공수정 연구에 대해서는 그 윤리성에 대한 문제제기나
논쟁
이 그리 많지 않았으나 이번 경우는 다른 반응을 낳고 있는 것이다. '인간복제'와 '배자복제'는 구분돼야인간복제. 나와 같은 또다른 나를 만들어내고 똑같은 아이를 열이건 스물이건 만들어낸다는 개념의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사회적으로 논란을 불러일으킨 것이 캘리포니아대 교육심리학자 옌슨에서 시작된 IQ
논쟁
이다. 그 무렵 흑인이나 소수민족, 경제적으로 궁핍한 계층의 어린이들에게서 흔한 학업지체를 국민학교 입학전에 개선하려는 '헤드스타트계획'이 있었으나 결국 성공하지 못했다. 옌슨은 이 실패의 원인을 ... ...
안정동위원소 이용한 석유탐사 새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어떤 결말이 나왔을까 하는 아쉬움을 지니고 있다. 자신은 없지만 지금까지 시끄러운
논쟁
을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일반적으로 석유탐사를 위한 장공시추에는 안정동위체의 기법 이외에도 지화학적 접근법이 많이 개발돼 활용되고 있다. 어떤 방법이 더 ... ...
의학계에 논란 불러일으킨 생체공학 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적이 있다. 그런데 실제로 생체공학 귀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 새로운 수술이 의학계에
논쟁
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생체공학 귀 삽입은 호주 시드니의 외과의사인 깁슨 박사의 아이디어로, 자신의 귀를 대상으로 한 전극 실험 도중 발견한 것이다.생체공학 귀는 두부분으로 구성된 첨단 제품이다. ... ...
프랑스 첨단과학기술 6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발견했노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이 문제를 놓고 두 나라는 과학의 명예를 걸고 수년동안
논쟁
을 벌여왔다. 다행히 1990년 미국의사가 사과성명을 냄으로써 진실이 밝혀지고 일단락됐다.이외에도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를 들 수 있다. 이 분야에서도 많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어 컴퓨터 발전에 큰 ... ...
'암기'와 완전결별 선언한 수학능력시험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가중시킬 뿐 아무런 도움이 안된다는 얘기다.사실 이 논의는 과학교육계의 뿌리 깊은
논쟁
과 관련이 깊다. 한국교육개발원 한종하 원장(물리, 54)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이번 수능시험이 깊이 있는 사고력과 분석력을 측정하는 데는 모자란 것이 사실이지만 기본 방향은 제대로 잡았다고 생각한다.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