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지] 시민과학 풀씨 지사탐 심화 탐사도 놓치지 마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잘 살 수 있을지 조사해 봐요. 기후변화로 거미가 앗, 뜨거!앗뜨거미 팀(한림대학교 정재욱 외 1명) 기후변화지표종은 기후변화 때문에 생활의 변화가 예상되는 생물 중 나라에서 지정해 관찰하는 종을 말해요. 아직 모니터링이 부족한 기후변화지표종인 거미류를 함께 관찰해요. 전기차가 ... ...
- [숫자뉴스] 물고기도 3+1 계산할 줄 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1개의 노란 도형을 보여줬을 때는 2개의 노란 도형을 정확히 골랐지요. 연구를 이끈 본대학교의 베라 슐뤼셀 교수는 “물고기들이 1을 더하거나 뺀다는 규칙을 이해했다”면서 “사람과 새, 포유류뿐만 아니라, 물고기, 꿀벌, 거미와 같은 동물도 수학 문제를 풀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라고 ... ...
- [특집] 꿀벌을 지켜 줘, 농도 괴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높아질수록 꿀벌이 살아남기 어렵다는 연구도 있어요. 루이스 지스카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환경건강학과 교수 연구팀은 1842년부터 2014년까지 미국과 캐나다 남부의 이산화탄소 농도와 그 지역에서 주로 자라는 식물인 ‘미역취’ 꽃가루 속 단백질의 양을 비교했어요. 그 결과, 172년 동안 ... ...
- [이슈] 알고 건너자! 알쏭달쏭 다리 현수교와 사장교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강과 바다 너머, 땅과 땅을 잇는 튼튼한 다리! 거센 바람과 물결을 견디고, 셀 수 없이 많은 자동차와 기차가 지나가도 끄떡없어요.기다란 다리가 어떻게 그렇게 튼튼할 수 있을까요?1편 ‘아치교’, 2편 ‘트러스교’에 이은 마지막 편! 긴~ 끈을 연결한 듯한 길~쭉한 다리 ‘현수교’와 ‘사장교’ ... ...
- [특집] 2400년 난제의 비밀, 펠의 방정식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난 수학의 신. 똘똘한 인간에게 수학 문제를 내고 수학을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지. 하여 언제나 인간 세계를 관심있게 바라보고 있도다.요즘 내가 주의 깊게 보고 있는 인간은 수학자 아르키메데스!과연 그가 ‘펠의 방정식’을 발전시킬 수 있을지 몹시 궁금하구나. ▼ 이어지는 기사를 보 ... ...
- [특집] 브라마굽타부터 페르마까지! 펠의 방정식을 푼 이유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방정식을 이용했어요. 많은 수학자가 펠의 방정식에 도전한 이유에 대해 김도형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방정식의 모습은 매우 간단해 보이지만 풀기는 어렵다는 점이 수학자에게 매력적인 문제”라고 전했어요 ... ...
- [특집] 드디어 풀리다! 음의 펠의 방정식의 비밀!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개의 d는 정수해를 가지고, 나머지 42개는 정수해를 가지지 않는다는 거지요. 진석호 중앙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없을 때 해답의 실마리에 다가가기 위해 빈도를 찾는 문제로 바꿔서 푼다”며, “이렇게 풀면 기존에 알지 못했던 수학적 발견을 할 때도 있다”고 이번 연구의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해적 유저 정복하기 2. 숨쉴 공간 마련! 물 쫙 빨아들이는 스펀지의 최소 개수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호흡 마법이 부여된 모자를 썼다고 무제한으로 바닷속을 탐험할 수 있는 건 아니에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바다 위로 올라와서 다시 숨쉰 뒤 탐험해야 하지요. 그래서 유적 가까운 곳에 숨쉴 수 있도록 바닷물이 없는 공간을 만들어야 해요. 물이 더 이상 들어오지 않게 벽으로 둘러 싸고 물을 빼야 ... ...
- [나도 수학쌤 문장제 문제] #9. 꼼꼼히 읽으면 답이 보인다!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서울에서 부산을 오고 가는 방법’, ‘월드컵 본선에 진출할 경우의 수’처럼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경우의 수를 따지는 상황을 자주 접할 수 있어요. 그런데 경우의 수를 풀 때 곱의 법칙으로 풀어야 할지, 합의 법칙으로 풀어야 할지 헷갈리지요? 오늘은 그 구별법을 알아볼게요. 중학교 2학년 ... ...
- [기획] 일회용컵 보증금제, 왜 필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표준컵이 아닌 비표준컵을 사용하려면 판매자가 더 큰 비용을 내야 해요. 서울시립대학교의 서명원 교수는 “우리나라 재활용품 수거율은 60%에 달하지만, 실제 재활용되는 비율은 3~15% 정도로 낮다”며, “표준컵 도입은 재활용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