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화도"(으)로 총 2,90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빅데이터는 그 자체로는 쓸모 없다. 그 속에서 어떠한 가치를 이끌어내야 의미가 있다. 여기에 수학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웨이블릿 변환 나쁜 유전자 찾는 열쇠, 웨이블릿 변환인간의 유전자 지도는 대표적인 생체 빅데이터로 질병을 예측하는 데 쓰일 수 있다. 지난 5월 10일 광주과학기술원 ... ...
- [SW 기업 탐방] 라온스퀘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몇 달 전, 쇼핑몰 로비에서 친구를 기다리던 기자는 사람들이 모여 깔깔거리는 모습을 봤다. 그들은 이상하게도 허공에 팔을 휘저었다…. 가까이 가 보니 높이 설치된 대형 스크린이 있었다. 팔을 재빨리 휘두르면 화면 속 두더지를 잡을 수 있는 게임이었다. 화면에 푹 빠진 기자는 두더지 뒤에 나 ...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픽미, 픽미, 픽미 업(pick me up)” 15살이나 됐을까 싶을 정도로 앳된 소녀들이 나와 자신을 뽑아달라는 노래를 부른다. 매력적인 101명의 걸그룹 지망생들의 성장 스토리는 감동을 불러 일으키기 충분했지만, 한편으로는 영 석연치 않다. 아마도 소녀들의 과도한 경쟁과 비정한 탈락을 바라보면서도 ...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언어를 번역할 때 한 단어를 다른 언어의 단어로 직역할 수 있는 경우는 굉장히 드물다. 단어가 표현하는 의미는 여럿이고 언어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언어를 통해 그 사람들의 ‘세상을 보는 눈’을 알 수 있다고 하는 이유다. 그렇다면 각 나라의 언어는 어떻게, 얼마나 다를까. 이런 차이는 어떻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2003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에서 새로운 인류 화석이 발견됐다.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라는 이름이 붙은 이 종은 키가 1m, 뇌 용량이 현생인류의 3분의 1에 불과한 호미닌이었다. 많은 학자들은 그 작은 크기에 경악했고, 일부는 ‘현생인류의 기형 아니냐’는 터무니 없는 주장을 했다(물론 금 ... ...
- INTRO 빅데이터가 미래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사람들의 마음속을 들여다봤는지, 각자의 취향에 맞춰 필요한 물건을 알아서 추천해주는 시대. 누구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는 시대. 수명까지 예측해주는 시대. 결코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미 우리 삶 속으로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 그 중심에는 빅데이터가 있다. 하지만 정 ...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수학동아 l2016년 06호
- ◀ 우리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으로 매일 기록하고 있는 모든 정보는 빠르게,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가 되고 있다. 또 그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빅데이터의 진정한 의미는 가치뉴스에서, 길거리 광고에서, 어디서나 빅데이터란 단어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름만 봐서는 큰 데이터, ... ...
- [과학뉴스] 낙타 유전자 다양성의 비결은 ‘여행’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단봉낙타는 지난 3000년 동안 사막을 여행하는 사람들의 발이었다. 하지만 단봉낙타가 어떻게 가축화됐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유전자들이 선택됐는지는 알려진 게 없었다. 오스트리아 비엔나수의대 연구팀은 단봉낙타가 가축화 과정에도 불구하고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띠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 ... ...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나이 지긋한 노(老)교수는 기술 발달을 지켜보며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말을 기회 있을 때마다 했다. “로봇이 도입되면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겠죠. 모름지기 사람이 노동 현장에 있어야 삶의 가치를 찾고 자아도 펼치는 법인데…” ‘미래 사회에 대한 여러 모델을 만들어 사람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지난 3월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4대 1로 이긴 사건을 두고, 여러 반응이 쏟아졌다. 영화 ‘터미네이터’의 디스토피아를 떠올린 사람도 있고, 인공지능의 현재 수준이 아직 그 정돈 아니라며 놀란 마음을 달래준 전문가도 있었다.그 중 필자가 가장 흥미롭게 느낀 반응은 다음이다. “알파고는 이성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