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위"(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103년 전 발견한 보이니치 문서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있을 거라 추측한다. 또 식물의 경우 꽃과 열매, 나뭇잎, 뿌리까지 정확히 그려져 있고, 부위별로 자세히 설명이 적혀 있는 페이지도 있어 병을 고치는 효능에 대한 설명일 거라고 추측하기도 한다.영국 맨체스터대의 마르셀로 몬테무로 박사팀은 글 전체에서 빈도수가 높을 뿐 아니라 골고루 퍼져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장비 ‘Taste+’를 개발하고 있다. 텀블러나 숟가락 모양으로 생긴 이 장비는 입이 닿는 부위에 전극이 설치돼 있다. 액체를 마시거나 음식을 먹을 때 자동으로 혀에 미세한 전기자극이 간다. 연구팀을 이끌고 있는 싱가포르국립대 니메샤 라나싱어 박사는 “혀에 전기자극과 온도자극을 주면 맛을 ... ...
- 파충류의 속사정 ②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존 대번포트 교수팀은 바다거북의 일종인 장수거북에게 온도를 감지하는 특별한 부위가 있음을 발견했다. 비밀은 장수거북의 정수리에 있는 분홍색 반점에 있었다. 이 반점은 주위 온도에 예민하게 반응해 계절변화를 읽을 수 있었다. 일종의 '제3의 눈'인 셈이다. 반점 아래는 단단한 머리뼈가 아닌 ...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fMRI)을 촬영해보니 해마 뒷부분의 활성도가 떨어 졌다. 해마는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부위다. 연구팀 은 우리가 어떤 사건을 겪을 때 1인칭 시점에서 바라 본 공간감이 기억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나를 벗 어나는 게 꼭 좋은 일만은 아니라는 것이다.영화 ‘토탈리콜’에서 주인공은 ... ...
- 금연 성패, 답은 정해져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피우지 않을지를 결정해 뇌로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뇌섬엽과 뇌의 다른 부위 간 연결고리를 찾아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연구 결과는 ‘신경심리약학지’ 5월 13일자에 실렸다 ...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정반대로 기억 회상을 방해하는 데에도 가상현실 이 쓰이기도 한다. 화상 환자들은 상처부위를 치료할 때 종종 화상 당시 기억을 떠올린다. 이 경우 고통은 더 커진다. 미국 워싱턴대 하버뷰 화상센터에서는 눈 밭으로 뒤덮인 가상현실을 보면서 치료를 받으면 고 통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췌장세포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호르몬을 분비하거나, 신경세포가 시냅스라는 연결 부위에서 신경전달물질을 내보낼 때 '어떻게 물질을 원하는 목적지로 정확하게 보낼 수 있는가'가 당시 그의 가장 큰 의문이었다.답은 실험실에서 키우던 효모에서 우연히 발견했다. 1978년 5월, 그는 한밤중에 ... ...
- 치키노사우루스 가능할까? 동물 복원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있는 동물.화석으로부터 멸종동물을 복원하는 방법1단계 지층에서 발굴한 뼈 화석을 부위 별로 맞춘 다음, 현존하는 동물 중에서 가장 비슷한 동물을 찾는다.2단계 닮은 동물을 해부해 뼈와 근육이 붙어 있는 구조를 관찰한다.3단계 뼈 화석에 남아 있는 돌기 등 자국을 관찰해 근육이 어떻게 붙어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무선전력전송, 피 안 뽑는 혈당측정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많은 전자파가 특정 부위에 흡수되면 온도가 1℃ 넘게 오른다. 이 경우 면역계가 그 부위를 이물질로 인식해 공격을 시작한다. “저희 연구팀도 전자파 인체흡수율을 통제하는 게 큰 숙제였습니다. 작년에 캡슐형 내시경을 사람 몸 안에 넣고 무선전력전송할 때는 열화상카메라로 한 시간 동안 ... ...
- [Life & Tech] 100년을 속인 가짜 혀 지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혀끝에서, 짠맛은 혀끝에서…, 엥? 모두 혀끝에서 느끼네요. 그러고 보니 각 맛을 느끼는 부위는 모두 비슷합니다. 혀끝에서 모든 맛을 ‘세게’ 느끼고, 양 옆과 뿌리 부근에서 ‘살짝’ 맛을 느끼네요. 가운데는 가장 둔감하고요. 서울 남산 자락에 있는 숭의여대 식품영양학과의 유경미 교수를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