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악
언덕
마운트
혼란
산란
해산
파산
d라이브러리
"
산
"(으)로 총 3,034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산
성을 띠는 개미
산
을 내뿜어요. 이 냄새는 개미마다 조금씩 다른데, 불개미의 개미
산
에서는 유황냄새가 난다고 해요.원래 개미학자들은 채집해온 개미의 행동을 가까이에서 관찰하며 과학적으로 질문을 던지고 가설을 세워요. 그런 뒤 자신의 가설이 맞는지 확인하는 개미 연구를 진행해요. 이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영하 200℃ 이하로 꽁꽁 언 행성에서
산
이 만들어지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산
이 있다는 것은 내부의 열에너지가 지표 대류를 일으켰다는 뜻이고, 이는 명왕성이 아직도 지질학적으로 활동적이라는 증거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5 행성 오디세이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무선충전 시장의 성장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각
산
업 분야에서 무선충전이 얼마나 중요한 기술로 인식될지, 또 어떤 기술이 시장을 주도하게 될지는 올해가 지나봐야 알 수 있을 것이다 ... ...
[Photo] 전직 CFO의 눈에 비친 중국의 풍경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높은
산
까지 무려 3000층에 이르는 계단식 논을 쌓기도 한다. 작가는 주위의 높은
산
에 올라 훙허하니 족이 만든 비경을 카메라에 담았다.]거짓말 같은 풍경누군가는 그의 풍경 사진을 보고 ‘비현실적’이라고 말한다. 나쁜 의미가 아니라 너무나 아름답기에 실제로 그런 풍경이 있다는 것이 믿을 수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2015년을 살아가는 우리는, 이제 막 형태를 갖춘 편미분방정식의 역사를 관통하는
산
증인인 셈이다. 그러니 누가 알겠는가. 곧 획기적인 해결법이 등장해 토네이도의 이동 경로는 물론, 세상 모든 변화하는 것들을 속속들이 예측할 수 있게 될지. 편미분방정식의 앞으로 100년이 기대되는 이유다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선은 계곡 접기로 접으면 된다.➌ 전개도가 인쇄된 종이를 세로로 길게 반으로 접고,
산
접기, 계곡 접기에 따라 차곡차곡 순서대로 포개 접는다. 이때 아이비 잎사귀의 외곽선(굵은 검정선)이 한 직선 위에 포개져야 제대로 접은 것!➍ 포개진 선을 한 번에 자른 뒤, 다시 종이를 펼친다.➎ 펼치면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Tetrahymena )에서 히스톤 아세틸기전달효소를 발견했다. 이 효소는 히스톤의 아미노
산
중 라이신에만 아세틸기를 붙이는 역할을 한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아세틸기전달효소가 알고 보니 효모에서 전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이미 알려진 GnC5 단백질과 유사한 형태라는 것이다. 히스톤에 아세틸기가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불구하고 휴메이슨을 ‘야간조교’라는 과학담당 전문직원으로 승진시켰다. “윌슨
산
천문대의 망원경은 휴메이슨의 손길이 없으면 작동하지 않는다”는 말이 나돌 정도로 휴메이슨은 탁월한 관측천문학자였다. 휴메이슨은 은하 620여 개의 사선방향 속도를 정확히 관찰해 측정했다. 휴메이슨의 ...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얼음으로 뒤덮인 표면 위에 만들어진 지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높이 3500m의
산
이 솟아 있다.➋ 명왕성과 카론명왕성과 위성 카론이 나란히 찍힌 모습. 13일 새벽 3시 38분(미국 동부 시간)에 포착된 사진으로 각각의표면에 있는 서로 다른 물질을 구분할 수 있도록 색을 인위적으로 부여했다.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있다. 과일즙을 넣었다면 소주도 색이 있어야 한다. 더구나 이런 색소는 열을 받거나
산
을 만나면 폴리페놀 화합물이 생성돼 색깔이 변한다. 배나 사과를 깎아놓고 공기 중에 놓아 두면 갈변하는 현상이 그 예다. 강 박사는 “식품은 살균을 위해 마지막에 반드시 열처리를 하기 때문에 생과즙을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