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디터노트] 과학에서 머리카락이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있는 정보는 생각보다 많다. 머리카락 뿌리(모근)에는 핵 DNA가 들어있다. 머리카락 뿌리
세포
10~15개를 확보하면 핵 DNA를 분석해 실종자의 특성을 대부분 확인할 수 있다. 혹여 뿌리가 없는 머리카락이라면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한다.머리카락에서 얻은 DNA 정보로 얼굴을 예측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 ...
[과학뉴스] 비만 치료 위해 뇌 시상하부 정조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분해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TSPO의 지질 대사 조절 기작을 밝힌 것이다.김 교수는 “(
세포
의)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면서 식욕이 줄고 체중이 감소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고 말했다. doi: 10.1080/15548627.2019.165961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라니냐 ·멜라토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멜라스(Melas)’와 ‘세로토닌’이 합쳐진 말이에요. ‘세로토닌’은 우리 몸의 신경
세포
사이에 정보를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햇빛을 쬘 수 있는 낮에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고 분비돼요. 뇌가 행복을 느끼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사람은 햇빛을 쬐면 기분이 좋아지지요. 해가 떠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표준유전체는 정확도가 99%가 넘는 고품질”이라며 “표준유전체의 염기서열을 다른
세포
에 주입해 키우면 원래 생물로 자랄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유전체를 구하는 것이 VGP의 최종 목표”라고 말했다. 정확하고 완성도 높은 표준유전체만 있다면 빙하시대 매머드도 되살릴 수 있다는 게 그의 ... ...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생명체의
세포
는 예외 없이 탄소 화합물로 구성돼있다. 미토콘드리아나 리보솜 같은
세포
기관도 예외가 아니다.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 또한 탄소 화합물을 통해서 공급된다. 대표적으로 탄수화물인 포도당이 그 역할을 한다. 탄수화물은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태양의 빛에너지를 저장해놓은 ... ...
통증은 고통스럽기만 한 걸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생겨 발병한다. 이로 인해 신경성장인자가 생성되지 않고 두뇌로 감각을 전달하는 신경
세포
가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통각이나 온점, 냉점 등 감각이 대뇌로 전달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고통이나 온도 변화를 느끼지 못한다. 박상준 연세대 의대 마취통증의학교실 교수는 “CIPA ... ...
[매스미디어] 의사 요한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통증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통증 정도에 따라 환자의 신경
세포
에서 나타나는 신호를 측정했다. 그 결과 낮에 약하고 한밤중에 세지는 통증의 숨겨진 리듬을 찾아냈다. 이를 이용해 수학 모형을 만들어 통증의 강도와 빈도를 예측했다. 통증을 미리 예측하면 대처하는 ... ...
[과학뉴스] 손톱만 한 3D 인공심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이전 기술에서 한 걸음 나아갔죠. 새롭게 선보인 인공심장은 환자의 몸에서 떼어낸
세포
이용해 만들어졌으며, 엄지손톱만 한 크기예요. 연구를 이끈 탈 드비르 교수는 “앞으로 사람에게 이식할 수 있는 인공심장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답니다 ... ...
[통합과학교과서] 토끼의 고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눈을 통해 많은 양의 빛이 들어오면 시신경을 통해 그 정보를 받아들여요. 그럼 신경
세포
가 이 정보를 뇌의 한 부분인 솔방울샘으로 전달하지요. 솔방울샘은 이 정보를 ‘멜라토닌을 만들지 말라’는 신호로 받아들인답니다. 결국 빛이 멜라토닌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하는 셈이지요 ... ...
개와 고양이의 눈빛에 '심쿵' · · ·비밀은 눈 근육에 있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발생 과정에서 멜라닌
세포
가 신체 말단까지 도달하지 못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멜라닌
세포
는 척추에서 출발해 말단으로 이동하는데, 일부 동물은 출산 전까지 이 과정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간혹 가슴 부위에 반달곰처럼 매력적인 흰색 털 무늬가 있는 것도 같은 이유다. doi: 10.1371/journal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