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브릭에 담긴 숫자의 마법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2호
이를 ‘튜브’라고 해요. 튜브는 브릭과 브릭이 서로 잘 끼워지도록 해요. 튜브의 지름은
약
6.5137mm예요. 4개의 스터드 사이에 하나의 튜브가 들어가면 딱 맞도록 계산했어요. 또 튜브 안쪽 비어있는 부분의 지름은 스터드의 지름과 같아요. 그래서 튜브에 스터드를 끼우면 꼭 맞게 들어가지요. ... ...
블랙홀 씨, 우리 밥 한번 먹죠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평균적인 크기의 블랙홀이 호킹 복사에 의해 소멸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10의 66제곱 년일 것으 로 예상된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는 테살리아의 왕인 에리 시크톤 이야기가 나온다. 에리시크톤은 데메테르 여신의 저주를 받아 아무리 먹어도 채울 수 없는 영원한 식욕을 갖게 된다. 자신의 ... ...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을 맞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10주년을 맞았다. 지구사랑탐사대는 2012년 80여명의 시민 탐사대원으로 시작돼 지금까지
약
2만명의 시민들이 17종의 생물을 탐사하는 거대 프로젝트로 거듭났다. 지구사랑탐사대의 지난 10년을 되돌아봤다. 과학은 과학자들만 할 수 있을까? ‘예’라고 답한 당신, 시민과학에 참여할 시간이다. ... ...
당신은 슬기로운 사람인가요 ?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첫 번째는 세계의 정치 시스템이 과거에 비해 더
약
해졌다. 국제 사회의 협력과 연대가
약
해졌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해결책이 복잡하다는 것이다.오존 문제는 해로운 화학물질을 덜 해로운 화학물질로 대체하는 일이었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마주하는 기후변화는 전 체 경제 시스템이 바뀌어야 ... ...
[특집] 극한환경 속 해저 모듈 첨단소재 옷 입고 버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30m에 건설되는데, 이때의 수압은 대기압●의 4배에 달해요. 이는 1m2(제곱미터)당 무려
약
40t(톤)의 무게가 누르는 힘이에요.이렇게 강한 외부 압력을 견디기 위해선 돔 구조가 적합합니다. 돔 구조는 둥근 곡선 모양 덕분에 압력이 한 곳에 집중되는 현상을 막고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켜 줘요. 그래서 ... ...
[4컷 만화] 떨어지는 로켓을 잡아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랩의 피터 벡 대표는 “이번 시도로 로켓을 만드는 데에 드는 엄청난 시간과 비용을 절
약
할 수 있게 됐다”며 “로켓을 지상까지 옮기는 데에 성공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기획] 내 맘대로 만들어 먹는다 3D 식품 프린팅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죠. 이어 “식품 프린팅은 음식을 씹고 삼키는 힘이 부족한 노
약
자를 위한 식품이나 개인의 건강과 알레르기 유무에 알맞게 설계한 개인 맞춤형 식품에도 적합한 식품 생산 방법”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맷돌 도난사건의 범인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연구팀은 쓰나미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나즈카판과 남아메리카판의 수렴 경계에서
약
1000km 길이를 따라 해구형 지진이 나타난 것을 확인했어요. 연구팀은 이 지진으로 높이 21m의 큰 쓰나미가 발생해 육지에 살던 생명체는 모두 사라지고, 바다에 존재하던 퇴적물이 사막지대로 이동했을 거라 ... ...
[특집] 경기장 온도 관리는 수학 모형을 이용한 모의실험으로!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밝은 색으로 텐트 색을 바꿨어요. 모의실험 결과 색 변경 후 경기장 내부 평균 온도가
약
5°C 내려갔습니다. 가니 교수팀은 선수들의 더위를 식히기 위해서 그라운드를 향해 찬 공기를 내뿜는 노즐을 설치했어요. 경기장마다 차가운 공기가 바닥에서부터 2m 높이까지 층을 이루도록 통풍구의 크기와 ... ...
[인터뷰] 특별 인터뷰 시리즈 1. 최초를 넘어 최고로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이 상의 최초 수상자예요. 배 교수님은 기체 역학에 관한 오랜 난제인 ‘프란틀 추측’을
약
8년에 걸쳐 연구한 끝에 해결한 공을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어요. 배 교수님은 박사후 연구원이던 2009년 프란틀 추측에 도전했어요. 문제를 풀 수 있는 아이디어를 이미 갖고 있어서 금방 답을 찾을 거라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