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소"(으)로 총 2,63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지점에 동시에 전달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이 장치를 활용해 실험용 쥐가 선호하는 장소를 기억하게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정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약물을 충전해 넣을 수 있도록 개량해 사용시간을 늘리고, 다양한 부위를 자극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아직은 선을 없앤 데 ...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발자국이 많이 발견된다. 1억5000만 년 전, 크레이삭은 따뜻하고 얕은 바다와 해변이 있던 장소다. 이곳에 살던 익룡들은 이 해변을 걸어 다니면서 발자취를 남겼다. 재밌는 것은 이곳의 익룡 발자국 보행렬이 모두 제각각이라는 것이다. 어떤 익룡은 보폭이 좁고, 어떤 것은 보폭이 넓다. 이것은 ... ...
- [Tech & Fun]광물이야기11 ‘생얼’이 더 아름다운 광물 형석(Fluorite)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결정적 요소는 인연이다. 공산품이 아닌, 자연의 예술품인 광물은 특정한 시간, 바로 그 장소에서 수집 대상물과 마주쳐야 손에 넣을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그리고 그 수집 대상물에 대한 가치와 비용을 저울질할 수 있는 안목이 그 기회를 잡을 것인지를 결정한다.필자가 이 표본을 손에 넣은 곳은 ... ...
- 대기와 태양이 만드는 변화무쌍 날씨와 계절!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저기압’ 같은 단어가 자주 나와요. ‘대륙성’이나 ‘열대성’은 기압이 만들어진 장소, ‘고기압’과 ‘저기압’은 기압의 높고 낮음을 나타내지요. 기압은 대기의 압력, 즉 대기가 우리를 누르는 힘을 말해요. 주변보다 기압이 높은 것을 ‘고기압’, 기압이 낮은 것을 ‘저기압’이라고 하지요. ... ...
- 동물행동학자의 기록일지 잘 가! 반달가슴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다시 자연적응훈련장으로 돌아오기를 반복할 수도 있다. 이처럼 서식환경과 비슷한 장소를 자연적응훈련장으로 만들어 적응 훈련을 하고, 적응 후에는 출입문을 개방해 자연스럽게 오가게 하는 방법을 ‘연방사’라 한다.2004년에 시작한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은 불과 11년만에 우리나라의 ... ...
- 명태 vs 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일종의 감각기관인 셈이에요.대구는 사는 곳도, 생김새도 명태와 비슷하지만 알을 낳는 장소가 명태와 달라요. 평소에는 명태처럼 북쪽 오호츠크해 쪽에 살지만, 산란기가 되면 북쪽에서 내려오는 차가운 물을 타고 남쪽으로 내려가거든요. 그리곤 수심이 얕은 바다에서 200만 개 정도의 알을 ... ...
- 세상에 이런 이름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mola는 라틴어로 ‘멧돌’을 의미하거든요.생물이 처음 발견됐거나, 유일하게 사는 장소를 학명으로 만들기도 해요. 우리나라 고유종의 종명에는 corea(coreana), korea(koreanus)가 들어간 단어를 많이 써요. 제주도, 한라산, 지리산 등 우리나라 지명도 종명에 많지요.이 밖에도 사람 이름을 학명에 넣기도 ... ...
- 아끼고 지키는 게 힘! 생물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환경이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는 것을 ‘상호작용’이라고 한답니다.생태계는 어떤 장소에 사는 생물이 다른 생물이나 환경과 상호 작용을 하는 것을 말해요.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생산하는 생산자(식물), 식물이나 다른 동물을 섭취함으로써 영양을 얻는 소비자(동물), 그리고 동식물의 사체를 ... ...
- 순간포착 세렝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왔어요. 연구팀은 주로 원격 위치추적 장치를 이용해 사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직접 그 장소를 찾아가 관찰했죠.그러던 중 2010년, 알렉산드라 스완슨 연구원이 세렝게티에 카메라를 설치했어요. 더 효율적으로 사자들의 행동을 관찰하기 위해서였죠. 얼마 지나지 않아 사자 프로젝트는 세렝게티 전체 ... ...
- 나보다 남이 먼저! 동물의 이타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경고음을 내는 경우가 많아요. 왜 그럴까요?포유류는 새끼가 자라 어른이 되면 태어난 장소에서 뿔뿔이 흩어지기도 하는데 이를 ‘분산’이라고 해요. 포유류에서는 주로 수컷이 분산을 하고, 암컷은 분산을 하지 않거나 태어난 곳에서 가까운 곳에 정착하지요. 땅다람쥐도 암컷은 태어난 굴에서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