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으)로 총 4,2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에 생태계 피라미드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보여주는 ‘생태계 피라미드’를 만들어 볼게요. 첫 번째 피라미드를 세우자먼저 생태계 피라미드의 바탕이 될 피라미드를 만들어 봐요. ‘블록 채우기’ 명령블록을 이용해 아래에서부터 위까지 점점 작아지는 정사각형판을 층층이 쌓으면 된답니다. ➊ 마인크래프트와 코드 작성기를 열고, ... ...
- [가상 인터뷰] 수학 문제의 영감은 개미에서 나온다?수학동아 l2022년 01호
- 개미 씨,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빠른 길 찾기의 달인 개미입니다. 저는 저보다 25배 무거운 먹이를 이고 집까지 가져가는데, 본능적으로 최적의 경로를 찾아 먹이를 빠르게 운반해요. Q. 최근 과학자에게 큰 도움을 줬다면서요? 알버트 체른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교 ... ...
- [핫이슈] 보드게임 타일은 왜 정사각형 아니면 정육각형일까?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정사각형 여러 개를 변이 맞닿게 붙여 하나로 이어 만든 평면도형이에요. 저는 먼저 정육각형 서너 개를 변끼리 맞닿게 이어붙여 만들 수 있는 타일 모양을 모두 그려놓은 다음, 게임 진행에 방해되는 타일을 제외했어요. 예를 들어 정육각형 4개를 일렬로 이어붙인 ‘ㅡ자형’ 타일은 내려놓을 ... ...
- [폴리매스 미궁] 알에서 발견된 소녀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적혀 있다. 소녀는 멍하니 앉아만 있다. 얼마 뒤 부족장이 내려와 티티르를 심문한다. “저 여자애는 누구지? 무슨 연유로 네 천막이 있었던 거냐?”티티르가 간밤에 일어난 일을 설명하려는 순간 소녀가 나직한 목소리로 중얼거린다. “뭐? 뭐라고 중얼거리는 거냐!” 부족장이 묻자 소녀는 말없이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2년 01호
- 하고,내가 몰랐거나잘못 생각했던 사실을 발견하기도 해요. 혼자서 볼 땐 도저히 보이지 않던 것들이 보이게 되죠.문제가 안 풀릴 때 친구들과 이야기 나눠보세요.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한 수학자들도 말도 안 되는 실수를 하지만서로 이야기를 하면서 실수를 알아차려요.수학자의 논문에 여러 ... ...
- [특집] 외계인은 새해가 헷갈려! 달력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2022년을 환영하는 거야? 2022년이 누군데?2022년이 적힌 종이를 팔랑팔랑 흔들고 있는 저 아이를 당장 찾아가 물어보자!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외계인은 새해가 헷갈려! 달력의 비밀Part1. [특집] 2022년 1월 1일이 대체 뭔데?Part2. [특집] 외계인도 궁금한 알쏭달쏭 달력Part3. [특집] 꼭꼭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7화. 샤롱가 납치 사건의 대 반전!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끝마치기로 했고요.딱지와 용용은 안심하고 스테쟈 행성을 떠났습니다. 사실은 매니저가 VIP석 표를 두 장 구해주었지만, 용용이 거절하는 바람에 공연을 직접 볼 수는 없었습니다.“갤럭시 틴즈의 공연을 코앞에서 볼 기회였는데, 아깝지 않아요?”“아니야. 샤롱가가 그렇게 힘들어하는 줄은 나도 ... ...
- [화보] 파노라마 사진전 │ 이 눈에 세상을 담는다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상징, 귀여운 펭귄이 옹기종기 모여있다.남극을 대표하는 펭귄의 한 종인 젠투 펭귄이다.저마다의 일상을 보내고 있는 펭귄의 모습은 마치 우리들의 모습처럼 보이기도 한다. 작가는 환상적인 자연을 느끼기 위해서는 파노라마 촬영기법이 필요하다고 말한다.포르멘토르 등대마르크 마르코 I ... ...
- 뉴 스페이스를 이끌고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기원하며 항공우주학에 관심있는 독자들에게 메시지를 전했다. 최 주임연구원은 “저 또한 나로호를 보면서 로켓에 대한 꿈을 키웠다”며 “올해에도 누리호는 물론, 많은 민간 기업의 로켓 발사가 예정돼 있는 만큼 많은 관심을 보여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차 선임연구원은 “지금까지는 ... ...
- [논문탐독] 데이터 쪼개고 합쳐 구축한 스마트팩토리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초록, 서론, 결론을 먼저 읽습니다. 논문에서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알 수 있습니다. 저한테 필요한 내용이 맞다면 연구방법에 대한 부분을 읽습니다. 최근에는 생산품의 열화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는데, 이렇게 찾고 읽은 논문들이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산업공학 분야 논문을 읽는 데 필요한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