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대"(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발표한 ‘2012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50선’으로 선정된 연구에 대해 알려주세요.현대 수학에서는 답을 찾기 전에 답이 모여 있는 모임을 먼저 파악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많이 써요. 바로 답부터 찾는 게 어려우니까 답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모임, 즉 공간에 대해 먼저 연구하는 거지요.그 중에서 ...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후보 1 상상이 현실로! 호버보드첫 번째 후보는 바로 ‘호버보드’야. 바퀴 없이 공중에 붕 떠서 나는 스케이트보드를 호버보드라고 해. 호버보드는 30년 전에 만들어진 영화에서 처음 등장했어. 당시에는 상상 속의 기계였지만, 이젠 진짜 만들 수 있게 됐단다. 과학으로 날게 된 호버보드호버보드 ... ...
-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않았나 싶다. 10년 뒤 공학을 전공으로 선택했으니 말이다.‘달콤새콤, 수학 한 입’은 현대 컴퓨터 수학을 소개하는 책치곤 드물게 군침이 돌게(!)하는 책이다. 13가지 수학 이야기를 간단한 게임을 통해 설명한다. 초콜릿으로 원주율의 근삿값을 구하고, 인기 게임 ‘앵그리버드’가 날아가는 궤적을 ... ...
- [News & Issue] ‘아이스맨’도 못 피해간 헬리코박터균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헬리코박터균1991년 알프스에서 발견된 5300년 전 신석기인 미라 ‘외치’의 위장에서 현대인의 절반 이상이 가지고 있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세균이 발견됐다. 이탈리아의 유럽아카데미 미라 및 아이스맨 연구소(EURAC)는 외치의 장내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를 ‘사이언스’ 1월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최근 이어지고 있는 북한 핵실험 사태를 볼 때 이런 기조는 현대와 맞지 않으며, 따라서 기술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고농축 우라늄만 있으면 핵무기 개발 끝!우라늄은 포신형 핵폭탄 제조에 필수적인 재료다. 포신형 핵폭탄은 ...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천방지축 후손, 보물을 잃다우리나라의 긴 역사 속에는 수많은 왕이 있습니다. 왕의 진짜 모습은 임금의 초상화인 어진(御眞)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수십여 곳에 나눠 보관할 만큼 어진의 수와 종류가 많았습니다.어진은 나라와 운명을 함께 했습니다. 임진왜란으로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자연을 바라보는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그런데 한 세기가 지난 오늘날, 현대물리학의 탄생을 이끈 상황과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표준모형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실험 결과 또는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표준모형은 많은 부분에서 매우 정밀하게 현실을 설명하고 있지만,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합니다.(손 대표와 사회자 슬금슬금 무대 밖으로 나간다. 무대엔 뉴트로필만 서있다)현대 면역학의 역사는 100년이 넘지만, 그 동안은 개별적인 면역 세포의 종류와 그 기능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그러다보니 뉴트로필은 침입자를 공격하는 단순한 세포로 취급됐습니다.하지만 면역 ...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기 때문이다.20세기에 눈부신 발전을 이룩한 현대 의학은 그동안 난치병으로 여겨지던 수많은 질병을 극복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한때 ‘20세기 흑사병’으로 불리던 무시무시한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 또한 이제 다양한 치료제가 개발돼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약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약력과 전자기력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이 바로 현대적인 의미의 표준모형이다.놀라운 점은 표준모형이 형성되는 과정이, 실험적 발견과 이론적 예측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이뤄져 왔다는 것이다. 때로는 새로운 입자가 발견되면서 이전에 없던 새로운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